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16~19일 보스턴서 개최
韓 제약·바이오 업계 총출동..한국관 역대 최대 규모
삼성바이오·롯데바이오·SK바이오팜·셀트리온 등 단독 부스

[포쓰저널=신은주 기자] 미국 보스턴에서 16일(현지 시각) 개막한 세계 최대 바이오 박람회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2025′에 국내 바이오·제약 업계가 대거 찾아 글로벌 파트너십을 모색한다.
신유열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롯데지주 부사장)과 최윤정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부사장) 등 주요 기업 오너 3세들도 바이오 USA 현장을 찾았다.
17일 바이오·제약 업계에 따르면 19일까지 열리는 보스턴 컨벤션&엑시비션 센터에서 열리는 바이오 USA 2025에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팜, 한미약품, 셀트리온, 동아쏘시오그룹 등 국내 주요 바이오·제약사가 대거 참가해 글로벌 협력을 추진한다.
미국 바이오협회(BIO)가 주관하는 바이오 USA는 전 세계 바이오·제약 업계 관계자가 모여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장으로 올해 32회째를 맞았다.
열린 올해 행사에는 전 세계 업계 관계자 2만명 이상이 방문할 예정이다.바이오 기술, 신약 개발, 유전자 및 세포 치료, 농업 바이오, 환경 바이오, 디지털 헬스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과 기술을 집중 조명한다.
이번 전시는 '세상은 고대하고 있다'(The World Can't Wait)를 주제로 열렸다. 글로벌 바이오·제약 기업이 하루빨리 획기적인 기술력을 선보여주길 바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이번 한국관은 역대 최대 규모로 운영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년 연속 단독 부스를 열고 올해도 전시장 초입에 167㎡ 규모 부스를 설치했다. 존 림 대표이사와 주요 경영진, 핵심 임직원들이 대거 참여했다. 위탁개발생산(CDMO) 경쟁력과 신규 시설 및 서비스 등을 알리는 데 주력한다.
올해 새롭게 론칭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서비스 등 CDMO 포트폴리오 확장, 인공지능(AI) 기반 운영을 비롯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을 알리고 있다.
셀트리온은 140㎡ 규모 부스에서 신약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 확대를 추진한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올해로 연속 4번째 단독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와 송도 바이오 캠퍼스의 경쟁력을 알린다.
제임스 박 대표와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참석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 부사장의 바이오 USA 참관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다. 신 부사장은 2023년부터 롯데지주 부사장과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전략실장을 겸임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올해 처음으로 기업 발표 세션에 참가해 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임상, 허가, 생산, 판매 등 전 과정을 소개한다. 대표 이사진은 참여하지 않는다.
SK바이오팜은 올해 행사에서 처음으로 단독 부스를 열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장녀인 최윤정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도 현장을 찾아 진두지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SK바이오팜은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글로벌 진출 확대를 추진중이다.
종근당, 한미약품, 유한양행, HLB, GC녹십자, 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코오롱생명과학, 차백신연구소 등의 실무진들도 올해 바이오 USA에 참여해 파트너링을 도모한다.
이번 바이오 USA에서는 미국 바이오산업과 관련한 정책적, 지정학적 논의도 예정돼 있다.
행사 둘째 날인 17일에는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특별 게스트로 참석한다. BIO 최고경영자(CEO) 등과 비공개 대담을 나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한국관' 부스를 운영하며 29개 국내 기업 및 기관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 롯데바이오로직스, 차세대 항암제 개발 박차..ADC 툴박스 구축 3자 협약
- "글로벌 CDMO 시장 공략"…롯데바이오로직스, 국제 바이오 행사 잇달아 참가
-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서 희귀질환 치료제 '에피스클리' 연구 결과 공개
-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80억 과징금' 소송 속행..法 "추가 설명 필요"
- 셀트리온 스테키마, 북미서 소아용 바이알 제형 허가 획득
- 셀트리온 "고형암 신약 CT-P73 효능-안전성 경쟁력 확인"
- SK바이오사이언스, 유해식물 제거 봉사활동
- SK바이오팜, AI 기반 신약 개발 속도..피닉스랩과 MOU
- 셀트리온, 옴리클로 40주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한미약품, 유튜브 수익 1천만원 환우에 기부
- 법원, 경보제약 23개 품목 허가취소처분 집행 정지
- 롯데바이오로직스, 바이오 USA서 오티모 파마와 항체의약품 CDMO 계약
- 셀트리온, 美 바이오USA서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박차
- 찾아가는 어린이 오페라..'종근당 KIDS HOPERA' 2025년 공연 시작
- 유한양행 창립 99주년..조욱제 "글로벌 50대 제약사 도약"
- 종근당, 시흥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 본격화
- "투약 4회 만에 체중 4.8%↓..근육은↑"..한미약품, 美서 비만신약 임상결과 대거 발표
- 유한화학, SBTi 과학기반 넷제로 목표 승인 획득
- 한미정밀화학, 펩타이드 기반 차세대 Mpox 백신 공동 개발 참여
- 유한양행, 개인용 혈당측정기 '유한당체크' 출시
- "연내 9천억 소각 추진"..셀트리온, 1천억 자사주 추가 매입
- 美 제약업계 "한국, 약값 지나치게 낮춰..무역협상서 압박하라"
- 임성기재단,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후보 공모
- 유한양행,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년비 1.5%↑
- 한미약품, 국내 첫 GLP-1 비만 신약 네이밍 공모
- 신동빈, 롯데 오픈 세번째 찾아..박혜준 우승 트로피 시상
- 종근당건강 '클리덤', 다이소 누적판매 170만 개 돌파..7개월 만
- SK바이오팜 작년 재생에너지 사용률 15%↓ 美 라이프사이언스 온실가스 105.5%↑
- 유한양행 청년 사회혁신 프로그램 '유일한 아카데미' 개강
- 삼성바이오로직스 2분기 영업익 4756억원 전년比 9.46%↑
- SK바이오팜 2분기 영업익 619억원 전년비 137.6%↑
- 롯데 유통·식품 보폭 넓히는 신유열...'K-버거'도 챙긴다
- SK바이오팜, 2년 연속 MSCI ESG 평가 AAA 등급 획득
- 롯데바이오로직스,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 상량식.."2027년 상업 생산"
- 동아쏘시오 3분기 영업익 333억원..전년比 4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