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측근 회사 투자 경위 조사

정근수 전 신한은행 부행장(현 신한투자증권 CIB총괄사장)이 2025년 7월 23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웨스트 민중기 특별검사 사무실로 출석히고 있다. 신한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씨의 '집사 게이트'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다. /사진=연합
정근수 전 신한은행 부행장(현 신한투자증권 CIB총괄사장)이 2025년 7월 23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웨스트 민중기 특별검사 사무실로 출석히고 있다. 신한은행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씨의 '집사 게이트'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다. /사진=연합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씨의 '집사 게이트'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3일 정근수 신한투자증권 CIB총괄사장(전 신한은행 부행장)과 최석우 경남스틸 대표를 소환했다.

정 전 부행장은 이날 오전 9시경, 최석우 경남스틸 대표는 이날 오전 8시경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IMS모빌리티 투자 배경에 김건희 여사가 있었나', '집사 김예성씨를 아는가' 등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정 전 부행장은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특검 사무실로 향했다.

최 대표는 투자 경위를 묻는 취재진에 "정상적인 투자 활동의 일환이었다"면서 '김건희 여사와 아는 사이냐'는 질문에 "김 여사는 전혀 모른다"고 답했다.

'집사 게이트'란 김 여사의 측근 김예성씨가 2023년 자신이 설립에 관여한 렌터카 업체 아이엠에스(IMS)모빌리티가 부실기업임에도 김 여사와의 관계를 토대로 한국증권금융(50억원), 키움증권(10억원), 카카오모빌리티(30억원), HS효성그룹(35억원), 신한은행(30억원) 등으로부터 180억여원을 투자받았다는 의혹이다.

투자금 중 46억원은 이노베스트코리아가 가진 IMS 주식을 매입하는 데 쓰였는데, 이 돈이 김 여사 쪽으로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제기된 상태다. 이노베스트코리아는 김씨 아내 정모씨가 유일한 사내이사로 있는 등 사실상 김씨 개인회사로 의심받는다.

특검은 이날 정 전 부행장과 최 대표에게 당시 구체적인 투자 경위를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이날 오전 김예성씨가 부당 이익을 얻는 데 관여했다고 의심받는 김씨 배우자 정모 씨도 소환한 상태다.

특검은 정씨에게 이노베스트코리아 사내이사가 된 경위, 구주를 매각한 이유, 46억원의 사용처 등을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2시에는 JB우리캐피탈 관계자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24일 오전 10시에는 유니크·중동파이낸스 관계자를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앞서 특검은 2023년 당시 이노베스트코리아의 대표를 지낸 윤재현 씨를 불러 기업들로부터 투자받은 경위 등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한국증권금융·카카오모빌리티·키움증권 관계자도 소환해 1차 조사를 벌였다.

17일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과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을 소환했고 21일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를 소환했다. 카카오의 경우 당초 특검은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를 소환할 예정이었으나 그가 방광암 투병 중인 점을 감안해 류 대표로 조사 대상을 변경했다.

21일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에 대한 조사도 예정돼 있었으나 조 부회장이 '해외출장'을 사유로 출석하지 않아 불발됐다.

조 부회장은 베트남에서 개최된 제3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회의에 ABAC 의장 자격으로 참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현재까지 특검팀에 구체적인 귀국 일자를 알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수사 초기 조 부회장에 대해 출국금지 조처를 했다가 그가 21일 출석해 조사받는 것을 조건으로 출금 처분을 일시적으로 해제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