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위는 삼성 홍라희 세모녀
7위 SK 최태원, 8위 LG 구광모.
리더스인덱스 집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일 오후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그룹 경영권 승계 관련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2025.2.3/연합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일 오후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그룹 경영권 승계 관련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2025.2.3/연합

[포쓰저널=문기수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해에도 3465억원의 배당금을 챙기며 국내 배당금 부호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정몽구 명예회장과 정의선 회장 부자가 뒤를 이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 등 삼성가(家) 세모녀도 1000억원 이상을 수령해 배당부호 4~6위에 올랐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14일까지 현금 및 현물배당을 발표한 560개 기업들의 2024년 배당금 총액은 40조70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36조8631억원보다 3조8458억원 증가해 약 10.4% 상승한 수치다. 

560개 기업 중 285개 기업(51%)이 전년 대비 배당금을 늘렸으며, 94개 기업(16.7%)은 지난해와 동일한 금액을 유지했고, 181개 기업은(32.3%)은 배당금을 줄였다. 2023년에는 배당을 하지 않았으나 2024년부터 배당을 실시한 기업도 54개사에 달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배당 빈도를 살펴보면, 16개 기업은 매분기(연 4회) 진행했고, 59개 기업은 2회 이상 4회 미만이었다. 나머지 485개에 이르는 절대다수 기업은 연 1회만 시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별 배당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다. 이 회장의 지난해 배당금은 3465억원으로 전년(3237억원)대비 7% 증가했다. 액수로는 228억원이 늘었다. 

2위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으로, 전년 대비 131억원 많은 1892억원을 수령했다. 

3위는 정 명예회장 아들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었다. 그룹 계열사들의 배당금 증가로 1747억원을 받아 전년 대비 183억원 증가했다. 

 4~6위는 삼성가 세모녀가 차지했다.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배당금은 1483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128억원 감소했다. 모친 홍라희 전 리움 관장은 276억원 감소한 1467억원을 배당받았다. 차녀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도 82억원 줄어든 1145억원을 수령했다. 이들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일부 지분을 매각하면서 배당금이 전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7위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다. 최 회장은 전년도(650억원)에 비해 40% 증가한 910억원을 배당 받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전년도와 동일한 778억원으로 8위를 기록했다. 

9위는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으로 전년에 비해 21억원 감소한 756억원을 배당받았다. 

김남호 DB그룹 회장이 전년보다 95억원 늘어난 439억원을 수령해 10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이재현 CJ그룹 회장 372억원(동일)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 337억원(96억원↑) ▲김준기 DB그룹 창업회장 286억원(49억원↑)▲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285억원(41억원↓)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 261억원(24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219억원(52억원↑) ▲고(故) 구본무 LG그룹 선대 회장 부인 김영식 여사 205억원(동일) ▲정몽진 KCC 회장 198억원(29억원↑)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20억원↑),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159억원(56억원↑) 등이 11~20위까지 상위권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 

올해 배당금을 1조원 이상 지급한 기업은 총 7곳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가 가장 많은 9조8107억원이었으며, 현대자동차가 3조1478억원, 기아 2조5590원, SK하이닉스 1조5195억원, KB금융 1조2003억원, 신한지주 1조880억원, 하나금융지주 1조159억원 순이었다. 

배당금이 가장 크게 증가한 기업은 SK하이닉스다. 지난해 8254억원보다 84.1%(6941억원) 증가한 금액을 배당했다. 지난해 영업이익 23조4673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따른 결과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분기 배당은 전년과 동일했으나, 결산 배당이 4배 이상 늘었다. 

배당금 증가 2위는 기아다. 분기 배당 없이 결산 배당금을 주당 5600원에서 6500원으로 인상해 배당 총액이 2조5590억원으로 전년 대비 3647억원 증가했다.

이어 HD한국조선해양 3606억원, SK이노베이션 2976억원, HD현대일렉트릭 1925억원, HD현대중공업 1855억원 등으로, 이들 기업은 지난해 배당을 새롭게 의결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2023년(2조9986억원)에 이어 2년 연속 배당금을 5.0% 늘리며 3조1478억원을 배당했다.  

배당금을 가장 크게 줄인 기업은 메리츠금융지주였다. 2023년 4483억원에서 지난해 2400억원으로 46.5% 감소했다. 

LG화학의 경우 2년 연속 배당 규모를 크게 줄였다. 2022년 8603억원에서 2023년 2743억원으로 감소했고, 지난해엔 786억원으로 4분의 1 수준으로 축소돼 1000억원 이하가 됐다. 

에쓰오일은 1835억원 줄어 –92.6%를 기록했으며, 고려아연은 971억원 감소해  -32.1%, 현대엘리베이터는 903억원 줄어들어 –62.5%였다. 이어 롯데케미칼 –633억원(-42.9%), 한국앤컴퍼니 –464억원(-70.0%) 순으로 배당금이 감소했다. 

2024년 개인배당 상위 30

순위

이름

그룹명

증감액

증가율

2024

2023

배당금총액

배당금총액

1

이재용

삼성

22,848

7.1%

346,583

323,735

2

정몽구

현대자동차

13,066

7.4%

189,245

176,180

3

정의선

현대자동차

18,316

11.7%

174,748

156,432

4

이부진

삼성

-12,848

-8.0%

148,285

161,134

5

홍라희

삼성

-27,617

-15.8%

146,688

174,304

6

이서현

삼성

-8,256

-6.7%

114,472

122,728

7

최태원

SK

25,985

40.0%

91,022

65,037

8

구광모

LG

0

0.0%

77,800

77,800

9

정몽준

HD현대

-2,101

-2.7%

75,641

77,742

10

김남호

DB

9,489

27.6%

43,856

34,366

11

이재현

CJ

35

0.1%

37,284

37,248

12

최기원

SK

9,640

40.0%

33,740

24,100

13

김준기

DB

4,926

20.8%

28,618

23,692

14

신동빈

롯데

-4,075

-12.5%

28,481

32,556

15

김남정

동원

2,373

10.0%

26,100

23,727

16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5,186

30.9%

21,947

16,762

17

김영식

LG

0

0.0%

20,497

20,497

18

정몽진

KCC

2,933

17.3%

19,858

16,925

19

정기선

HD현대

2,045

13.3%

17,420

15,375

20

정용진

신세계

5,575

53.9%

15,921

10,346

21

김주원

DB

3,243

27.2%

15,162

11,918

22

구연경

LG

0

0.0%

14,215

14,215

23

정지선

현대백화점

-735

-5.1%

13,567

14,302

24

허창수

GS

2,213

20.0%

13,258

11,045

25

허용수

GS

978

8.0%

13,202

12,224

26

최창원

SK

5

0.0%

13,027

13,022

27

정몽익

KCC

-838

-6.7%

11,627

12,465

28

정유경

신세계

628

6.4%

10,386

9,758

29

정교선

현대백화점

454

5.0%

9,539

9,085

30

김재철

동원

852

10.0%

9,368

8,516

 

 

 

 

 

 

 

 

Total

 

74,320

4.4%

1,781,557

1,707,237

출처: 리더스인덱스, 2025.2.14까지의 전자공시시스템 공시기준, 단위: 백만원

 

2024년 배당금 총액 상위 30개 기업

순위

회사명

2023 vs 2024 증감

2024

2023

배당금 증감

배당금

증감율

(%)

배당률 증감

(%p)

평균배당률

(%)

배당금총액

평균배당률

(%)

배당금총액

1

삼성전자

1,330

0.0

0.1

0.6

9,810,767

0.5

9,809,437

2

현대자동차

149,183

0.0

-0.9

1.8

3,147,839

2.7

2,998,656

3

기아

364,768

0.2

0.0

3.2

2,559,045

3.2

2,194,277

4

SK하이닉스

694,061

0.8

0.1

0.4

1,519,512

0.3

825,451

5

KB금융

34,061

0.0

-0.9

1.0

1,200,347

1.8

1,166,287

6

신한지주

1,725

0.0

-0.3

1.1

1,088,042

1.4

1,086,317

7

하나금융지주

36,077

0.0

-0.6

2.0

1,015,932

2.6

979,855

8

우리금융지주

143,743

0.2

-0.3

2.7

891,045

3.0

747,302

9

삼성생명

143,660

0.2

-0.3

2.3

808,087

2.6

664,427

10

삼성화재

해상보험

127,529

0.2

-0.8

2.5

807,694

3.3

680,166

11

POSCO홀딩스

-1,277

0.0

0.3

0.9

757,485

0.6

758,762

12

SK텔레콤

-12,004

0.0

-0.2

1.8

753,613

1.9

765,617

13

KT&G

-2,401

0.0

-0.3

2.6

588,375

2.9

590,776

14

현대모비스

135,165

0.3

0.3

1.2

542,486

1.0

407,320

15

HMM

46,296

0.1

-0.1

1.6

528,624

1.7

482,328

16

KT

8,631

0.0

-1.5

1.3

491,601

2.8

482,970

17

LG

-5,557

0.0

0.4

2.2

478,180

1.8

483,737

18

삼성물산

8,178

0.0

0.1

1.1

425,525

1.0

417,347

19

DB손해보험

90,065

0.3

0.7

3.5

408,296

2.8

318,230

20

SK

108,718

0.4

1.1

2.5

385,621

1.4

276,903

21

HD한국조선해양

360,645

 

1.1

1.1

360,645

0.0

0

22

삼성증권

116,090

0.6

1.0

3.7

312,550

2.7

196,460

23

삼성카드

32,013

0.1

-0.4

3.5

298,790

3.9

266,777

24

SK이노베이션

297,557

 

0.8

0.8

297,557

0.0

0

25

LG유플러스

0

0.0

0.2

3.2

279,388

3.1

279,388

26

현대글로비스

41,250

0.2

-0.6

1.3

277,500

1.9

236,250

27

포스코

인터내셔널

94,035

0.6

0.9

1.9

264,189

1.0

170,154

28

GS

18,935

0.1

0.6

3.5

255,712

3.0

236,777

29

HD현대

-7,067

0.0

-1.0

1.2

254,406

2.2

261,473

30

메리츠

금융지주

-208,334

-0.5

-1.5

0.6

240,000

2.1

448,334

 

 

 

 

 

 

 

 

 

 

Total

2,817,075

0.1

 

 

31,048,853

 

28,231,778

출처: 리더스인덱스, 2025.2.14까지의 전자공시시스템 공시기준, 단위: 백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