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미래전략연구소 '자발적 탄소시장 동향' 보고서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탄소배출량 감축 의무가 있는 기업들만 참여하는 '규제시장'이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7.6%만 포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규제시장의 한계와 함께 국내·외 기업 및 이니셔티브의 활동이 강화되면서 배출량 감축의무가 없는 기업 등이 참여하는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1일 KDB미래전략연구소의 '자발적 탄소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규제시장은 11월 기준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7.6%인 89억1000만톤만 포괄한다.
탄소시장은 탄소배출량 감축의무의 유무에 따라 크게 규제시장과 자발적 탄소시장으로 나뉜다.
규제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정부가 고탄소배출 산업 내 기업들에 대해 배출허용상한을 설정하고 이에 근거해 탄소배출권을 할당한다. 대상 기업들은 탄소배출권 잉여‧부족분을 거래한다.
자발적 탄소시장에서는 배출량 감축의무가 없는 기업, 기관, 개인 등이 재생에너지 보급, 탄소포집·저장 등의 배출량 감축·제거 프로젝트를 통해 발행된 탄소상쇄권을 거래한다.
상쇄배출권은 배출한도가 없고 배출량을 상쇄하는 것으로, 규제시장의 탄소배출권과는 다르다.
주요 참여주체는 △프로젝트 개발사 △표준기관 △등록소 △구매자 등이 있다.
프로젝트 개발사는 탄소배출량 감축·제거 프로젝트를 실시하며 프로젝트의 배출량 감축·제거 실적에 대해 외부기관으로부터 인증을 획득한다.
표준기관은 프로젝트의 배출량 감축·제거실적을 승인한다. 미국의 베라(Verra)·ACR, 스위스의 GS, 한국의 대한상공회의소 탄소감축인증센터 등이 이에 해당된다.
등록소는 승인 프로젝트 등록으로 탄소상쇄권을 발행 후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통상적으로 대형 표준기관들은 자체 등록소를 운영한다.
구매자는 구매한 탄소상쇄권을 자체 배출량 상쇄 등에 활용한다.
국내·외 기업들도 자발적 탄소시장에 프로젝트 개발사, 구매자, 투자·중개사 등으로 참여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프로젝트를 진행해 탄소상쇄권을 발행하고 있다. 삼성증권 등 증권사들은 자발적 탄소배출권에 대한 자기매매 및 장외 거래 중개업무를 진행한다.
해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탄소상쇄권 등을 통해 자사 배출량보다 많은 탄소를 제거하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을 선언했다.
애플은 스마트워치의 제조·판매과정에 발생하는 배출량 상쇄에 탄소상쇄권을 활용하고 있다.

탄소상쇄권 시장 규모는 2016년 이래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지난해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전년대비 발행량은 21%, 소각량은 4%씩 각각 감소했다.
소각량은 구매자의 탄소배출량 상쇄 등에 활용된 탄소상쇄권을 등록소에서 소각처리한 규모다.
보고서를 쓴 김상아 KDB미래전략연구소 연구원은 "향후 자발적인 배출량 감축목표 달성노력 확산, 규제시장의 한계, 글로벌 이니셔티브들의 활동 증가 등에 힘입어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데이터 분석기관 트로브 리서치(Trove Research)를 인용해 자발적 탄소시장 규모가 2030년 5~15억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미 컨설팅 기업 맥킨지도 2030년 15~20억톤, 2050년 70~130억톤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