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JF 30주년 교류회 취임후 첫 주재
글로벌 경제위기, 4차산업혁명 협력 논의

[포쓰저널] 이재용 회장이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의 3주기(10월25일)를 앞두고 부친을 회상하며 유지를 잇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은 서울 한남동 승지원(承志園)에서 삼성의 일본 내 협력회사 모임인 'LJF(Lee Kunhee Japanese Friends)' 정례 교류회를 주재했다.
올해 발족 30주년을 맞은 LJF는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이 삼성전자와 일본 내의 반도체·휴대폰·TV·가전 등 전자업계 부품·소재 기업들의 협력 체제 구축을 제안해 1993년 시작된 모임이다.
고 이건희 선대회장은 1993년 신경영 선언과 함께 LJF 발족을 제안하며 "부품 경쟁력이 완제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므로 삼성이 잘 되려면 부품회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삼성과 LJF 회원사 경영진간 정례 교류회는 코로나19 사태로 휴회한 2020년을 제외하고 지난 30년간 매년 열렸다. 삼성과 LJF 회원사들은 정례 교류회를 통해 사업장 교차 방문과 기술 세미나 공동 개최 등을 진행하며 협력 관계를 강화해왔다.
이재용 회장은 2013년 이 선대회장과 함께 LJF 교류회에 참석했다. 2019년 와병중인 선대회장을 대신해 교류회를 대신 주재한데 이어 올해는 회장으로서 첫 교류회를 주최했다. 한국에서 대면 교류회가 열린 것은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이번 LJF 교류회에는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노태문 MX사업부장, 김우준 네트워크사업부장, 박용인 시스템LSI 사업부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등 관계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LJF에서는 TDK, 무라타 제작소, 알프스알파인 등 전자 부품·소재 분야 8개 협력회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재용 회장과 LJF 회원사 경영진은 교류회를 통해 지난 30년간의 협력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과 LJF 회원사들은 전세계적 경기 침체와 더불어 ▲코로나 19 사태 ▲미국-중국 무역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연이어 겹치는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을 함께 극복하자고 다짐했다.
또 인공지능(AI)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선도해 글로벌 윈-윈(Win-win)을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 개척을 위한 동반자 관계를 한 층 강화하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승지원 교류회에 앞서 삼성과 LJF 회원사 경영진은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만나 삼성 주요 관계사의 미래 사업 전략을 공유하고 향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삼성 측은 올해 교류회가 삼성이 주요 손님을 맞고 미래를 대비하는 핵심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승지원에서 열린 것은 선대의 유지를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겠다는 이 회장의 뜻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19일엔 삼성 반도체의 태동지인 기흥·화성 캠퍼스를 찾아 차세대 반도체 R&D(연구개발) 단지 건설 현장을 둘러본 후 저녁 3주기 추모음악회에 참석했다.
삼성은 18일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열고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꿔야 한다"며 뼈를 깎는 수준의 혁신을 주문한 고인이 '신경영'을 재조명했다. 25일엔 공식 추모 행사를 진행한다.
관련기사
- 기흥 캠퍼스 찾은 이재용 "반도체 도약 혁신의 전기 마련해야"
- "다 바꿔야 한다" 이건희 회상하는 삼성...3주기 첫 공식행사
- 尹 코드 맞추는 삼성..이건희 애견사랑 이틀에 걸쳐 재조명
- 홍라희, 이재용과 6년 만에 공식행사...'삼성 안내견' 30주년 기념식
- 이재용, 호암상 시상식 2년 연속 참석..홍라희·이부진은 불참
- 제 33회 삼성호암상, 임지순·최경신·선양국·조성진 등 수상
- 삼성 이건희 3주기…이재용 등 유족·경영진 150여 명 참석
- 이재용 회장 1년..이건희 뛰어넘는 '뉴삼성' 성과는 언제
- '이건희 소아암 행사' 직접 챙긴 이재용...모친과 나란히 참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