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유영상 "실사구시 자세,AI 컴퍼니 성과"
KT 김영섭 "디지털 혁신 파트너 등 ICT 전문기업"
LG유플러스 황현식 "고객경험, 디지털혁신,플랫폼"

(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사진=각 사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국내 이동통신 3사가 2024년에도 인공지능(AI), 디지털혁신, 플랫폼 확장 등을 화두로 비통신 분야 사업에 속도를 낸다.

기존 통신 사업이 한계를 드러냄에 따라 미래 성장 동력인 비통신 분야 사업에 적극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지다.  

2일 이통 3사에 따르면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신년사를 통해 '실사구시'의 자세를 강조하며 AI 컴퍼니 성과를 거두자고 당부했다.

AI 인프라, AIX(AI인공지능전환), AI 서비스 3대 영역을 골자로 한 'AI 피라미드 전략'의 본격적인 실행과 AI 컴퍼니 성과 가시화를 올해 목표로 제시했다.

유 대표는 조직별 AI 전략 기반으로 한 시너지를 통해 성과를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고객 지표, 매출, 영업이익 등 시장의 기대를 강조하며 데이터 센터 등 신규 사업은 빠르게 키우고 기존 사업과 서비스는 AI와 결합해 더 큰 성과를 만들어 내자고 했다.

유 사장은 수익, 비용, 자산 구조를 재정비하고, 조직문화와 관리체계 등 운영 시스템도 글로벌 AI 컴퍼니 비전에 맞게 개선할 것을 촉구했다. 

올해 취임 2년차를 맞은 김영섭 KT 대표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 등 ICT(정보통신기술) 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대표는 "고객의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드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로 거듭나고자 성장을 위한 혁신의 출발선에 섰다"며 "과거 CT(통신기술) 중심의 사업 구조를 넘어 ICT 전문기업으로 변화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신뿐만이 아닌 디지털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도 더욱 치중하겠다는 것이다.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는 올해 3대 전략으로 ▲고객경험(CX) ▲디지털혁신(DX) ▲플랫폼을 제시했다.

황 대표는 DX 역량 강화를 통한 플랫폼 사업 확대를 강조했다. 아울러 AI와 데이터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자사의 초거대 AI '익시젠'을 통신 및 플랫폼 서비스에 적용한다.

황 대표는 "통신의 디지털화와 AI·데이터 사업을 확대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플랫폼 사업의 질적 양적 성장을 위해 기업소비자간거래(B2C)는 물론 기업간거래(B2B) 분야로 플랫폼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