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RTK·디지털 트윈 기반 통합관제 플랫폼 등 구축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LG유플러스는 12일 울산항만공사 본사에서 울산항만공사와 ‘울산항만공사형 에코 스마트항만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울산항만공사형 에코 스마트항만은 도선사·선박·부두 운영사 등 항만 연관 조직이 실시간으로 운항정보를 공유하고 분석해 효율성은 물론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항만운영을 가능케 하는 ’지능형 항만‘을 뜻한다.
LG유플러스는 협약에 따라 울산항만공사의 생산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 및 솔루션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울산항만공사에 전용 5G(5세대 이동통신)망과 MEC 플랫폼을 설계해 서비스망의 안정성과 확장성, 보안성, 관리 효율성을 구현한다.
MEC은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데이터센터를 서비스 현장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5G의 초저지연성(끊김이 없는 통신서비스)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LG유플러스와 울산항만공사는 울산항만 특성에 최적화된 안전솔루션과 센서 등도 공동 기획하고 울산항 전역을 사각지역 없이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합관제 플랫폼 구축에도 협력한다.
통합관제 플랫폼은 현실과 같은 3차원 가상 세계를 만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장비 및 차량의 실시간 초정밀 측위가 가능한 5G RTK(Real Time Kinematic) 기술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작업자의 위치나 생체신호를 감지하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물론 대기환경 및 화학물질 유출 등을 감시하면서 친환경 항만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울산항만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K-테스트베드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통신망 및 기술도 지원한다.
K-테스트베드는 지난해부터 중소·벤처기업이 보유한 신기술 및 시제품이 경쟁력과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증형 테스트베드(과학 이론, 계산 도구, 신기술에 대해 엄격하고 투명하고 재현 가능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김재균 울산항만공사 사장은 "울산항만공사의 안전성과 생산효율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울산항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LG유플러스와의 협력을 결정했다"며 "이번 스마트항만 구축사업이 울산항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택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국내 항만들이 세계적인 선진항만으로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콘텐츠 '유삐와 친구들 율동동요 3D 애니메이션' 공개
- LG유플러스, U+초정밀측위 기술 자율주행·스마트항만으로 확대
- LG유플러스, 울산광역시와 지역 경제 활성화 협력
- LG유플러스·이마트24, 자급제폰 판매 활성화 공동 프로모션
- LG유플러스, 노키아와 '5G 어드밴스드·6G 기술개발' 협력
- LG유플러스·LG전자·LG생건, 창립 75주년 맞이 공동 이벤트
- OTT·도서·밀키트, 한번엔 구독...LG유플러스, 구독플랫폼 '유독' 론칭
- 추가 할당 '5G 주파수' LG유플러스 품으로..주파수폭 3사 모두 100㎒
- LG유플러스, 2021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지향점 반영"
- LG유플러스, 포항공대와 6G 핵심기술 'RIS' 공동연구
- LG유플러스, 콘텐츠 기업 'SAMG' 지분투자...IP 경쟁력 강화
- LG유플러스 '일상비일상의틈', 레고 창립 90주년 팝업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