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초정밀측위 서비스 고도화 위해 기준국 57개소 구축 완료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LG유플러스는 U+초정밀측위 서비스를 골프 서비스에 이어 자율주행, 스마트항만으로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는 RTK(실시간 이동 측위) 기술을 활용해 이동하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3월부터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RTK 기술은 △위도·경도·고도 등 절대 위치에 대한 값으로 기준점 역할을 하는 ‘기준국’ △기준국 절대 위치 값과 위성을 통해 측정한 기준국의 위치 값을 비교해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RTK 서버’ △위성이 측정한 단말의 위치 값에 RTK 서버가 생성한 보정 정보를 계산해 ㎝ 단위 측위를 수행하는 ‘RTK 수신기’로 구성돼 있다.
기준국은 정확한 위치를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할 때 활용되기 때문에 기준국이 많을수록 더 정확한 초정밀 측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부터 기준국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기 시작해 6월 말 기준 총 57개소 구축을 완료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기준국 75개소와도 연동해 총 132개소 기준국을 기반으로 전국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4월 보이스캐디 제조기업 브이씨와 손잡고 골프 기기에 초정밀 측위 기술을 접목해 골퍼에게 정확한 홀컵 위치정보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3분기에는 자율주행, 스마트항만으로 적용 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U+초정밀측위 서비스를 채택한 기업으로는 ACELAB, 오토노모스에이투지 등 자율주행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 기업과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지도 제작 기업 웨이즈원 등이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혁신사업 ‘레벨4 자율주행 아키텍처 기반 컴퓨팅 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등에도 U+초정밀측위 기술 적용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부산항만공사,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사와 협력해 스마트항만에 U+초정밀측위 기술 적용도 추진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와는 항만에서 운영하는 장비와 장치에 초정밀 측위 기술을 적용했다.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사와는 작업장의 안전관리를 위해 연내 적용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LG유플러스는 택시, 버스, AI(인공지능) 도로위험 정보분석 등 다양한 위치 기반 공공교통·운송 서비스에도 U+초정밀측위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모빌리티 전문 인공지능 기업 다리소프트와 AI 기반의 도로위험정보 분석 시스템 개발에도 협력하고 있다.
최택진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그간 높은 가격으로 활성화가 어려웠던 초정밀 측위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울산광역시와 지역 경제 활성화 협력
- LG유플러스·이마트24, 자급제폰 판매 활성화 공동 프로모션
- LG유플러스, 노키아와 '5G 어드밴스드·6G 기술개발' 협력
- LG유플러스·LG전자·LG생건, 창립 75주년 맞이 공동 이벤트
- 추가 할당 5G 주파수 사실상 LG유플러스 품으로
- LG유플러스, 콘텐츠 '유삐와 친구들 율동동요 3D 애니메이션' 공개
- LG유플러스 '에코 스마트항만' 조성..울산항만공사와 협력
- OTT·도서·밀키트, 한번엔 구독...LG유플러스, 구독플랫폼 '유독' 론칭
- 추가 할당 '5G 주파수' LG유플러스 품으로..주파수폭 3사 모두 100㎒
- LG유플러스, 포항공대와 6G 핵심기술 'RIS' 공동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