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제한·요금 부담·해지 불편 없애..SSG 등 제휴사 확대
구개 이상 구독시 50% 할인...2025년 이용자 1천만명 목표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LG유플러스가 구독경제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LG유플러스는 14일 용산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규 구독 플랫폼인 ‘유독’을 공개했다.
'유독'은 기존 구독 상품에 대한 고객 불만을 개선해 원하는 서비스만 골라 저렴한 가격에 구독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선택 제한, 요금 부담, 해지 불편 등을 없앴다.
LG유플러스는 미디어, 쇼핑, 육아 등 고객의 일상생활에 맞춘 구독 플랫폼 '유독'을 앞세워 구독경제 시장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까지 '유독' 정기 이용 고객 1000만명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정수현 LG유플러스 컨슈머부문장(부사장)은 “구독 서비스에 있어서 한 차원 높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민하고 시도한 도전의 결과로 유독을 선보이게 됐다”며 “기존 구독 서비스에서 고객이 겪은 불편을 완전히 해소한 유독을 통해 고객 경험의 초격차를 벌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필요한 서비스만 골라 담아...두개 이상 선택시 50% 할인
'유독'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까지 구독하고 매월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기존 구독 상품과 달리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만 골라 구독할 수 있도록 했다.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를 즐기는 고객의 경우 티빙과 유튜브 프리미엄을, 자취를 하는 1인 가구 고객은 일리커피와 요기요를 각각 선택해 구독할 수 있다.
'유독'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OTT·미디어(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유튜브 프리미엄, 모두의할인팩, V 컬러링) △배달·여가(요기요, 쏘카, 일리커피) △식품(CJ외식, CJ더마켓, GS25) △교육·오디오(윌라, 시원스쿨, 딸기콩) △쇼핑·뷰티·미용(올리브영, 엔펩) △유아(손꼽쟁이, 앙팡, 엄마의 확신, 오이보스) △청소·반려동물(세탁특공대, 어바웃펫) 등 31종이다.
'유독' 고객은 약 4500종의 일상 아이템 상품을 온라인 최저가로 구매할 수도 있다.
'유독'은 월 이용료 부담도 대폭 줄였다. 유독 이용 고객은 하나의 서비스만 선택해도 매월 최소 5%의 할인을 받을 수 있고 2개 이상을 선택할 경우 매월 최대 50%의 이용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유튜브프리미엄을 구독 중인 고객이 유독을 통해 유튜브프리미엄을 선택하면,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이용 요금은 매월 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유튜브프리미엄과 요기요 두 가지 구독 서비스를 조합하면 월 이용료 할인율은 25%로 높아진다. 약정이나 기본료가 없다는 점도 유독의 장점이다.
가입과 해지도 편리하다. LG유플러스 모바일 가입 고객은 공식 홈페이지인 LG유플러스 닷컴이나 고객센터 앱을 통해 유독 페이지에 접속,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뒤 서비스 가입 요건을 확인하면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해지는 고객이 구독한 서비스 목록을 한 눈에 살필 수 있는 마이 구독 메뉴에서 해지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이뤄진다. 매월 통신 요금과 구독 서비스가 합산 청구돼 고객은 쉽게 구독 이용료를 관리할 수 있다.
◇맞춤형 구독 서비스 고도화...연내 전국민 대상 서비스
LG유플러스는 철저한 시장 조사를 통해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유독'에 담았다고 설며앴다.
서비스 출시에 앞서 LG유플러스가 20~69세 통신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구독 서비스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고객들은 매번 반복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해주는 시간 절감형 구독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크지만 실제 이용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에 관심이 높은 핵심 타깃으로는 1·2인가구와 미취학·초등생 자녀를 둔 부모 고객으로 조사됐다. 20~69세 고객의 86%는 매월 2~3개의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핵심 타깃 고객층은 약 6~7개의 서비스를 구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2인가구는 OTT·도서·밀키트(간편조리세트), 자녀를 둔 부모 고객은 온라인 학습·가사 도움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독'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제휴 파트너사를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연내 추가 제휴가 예정된 사업자는 △SSG.COM(쇼핑) △리디(전자책) △밀리의서재(전자책·오디오북) △인터파크(여행·공연) △마이쉐프(밀키트)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유아) △레고코리아(유아) △호비야놀자(유아) △캠핑고래(캠핑) 등이다.
LG유플러스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한 지역 특산물 구독 및 펫 서비스 관련 구독 상품 등도 '유독'에 추가할 예정이다. 현재 LG유플러스가 협업계약을 맺은 지자체는 강원도, 춘천, 해운대구, 울산시 등이다.
LG유플러스는 연내 '유독'을 전국민 대상 서비스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타사 가입 고객도 유독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9월 '유독'에서 구독·구매할 수 있는 자사 전용상품과 일상아이템 상품을 각각 50개 4700종 이상, 12월에는 100개 5000종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와이낫' 캠페인으로 고객 불편 지속 해소
'유독'은 지난해부터 시작한 고객 가치 혁신 캠페인인 ‘와이낫(Why Not?)’의 일환이다. LG유플러스는 '유독'을 통해 고객 불편을 계속 줄여나가는 플랫폼 제공 사업자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와이낫 캠페인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고객 경험 혁신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고객 불편을 해소하고 기대하지 못한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취지가 담겼다.
정수헌 컨슈머부문장(부사장)은 “와이낫 캠페인을 통해 고객을 위한 라이프 스타일 플랫폼 개발해왔으며 그 첫 번째 플랫폼이 '유독'”이라고 말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유독에 통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구독 상품을 발굴, 추천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일반 상품도 구독 서비스로 만들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어떤 상품이든 정기적인 배송과 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고객의 취향에 따라 구독형 상품을 추천하는 구독 시스템을 갖춘다는 구상이다.
정수헌 컨슈머부문장(부사장)은 “향후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찾아내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일상에 꼭 필요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 일상에 즐거운 변화를 주도하는 디지털 혁신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