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 신동빈(70)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해 롯데지주와 호텔롯데 등 7개 계열사에서 총 216억53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2023년보다 총 연봉이 약 4억원, 1.8% 늘었다.
31일 각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해 호텔롯데에서 급여 22억1400만원 등 24억23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전년보다 14.18% 늘었다.
호텔신라는 지난해 영업영업익 -456억원, 당기순이익 -1조574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신 회장은 롯데물산에서는 지난해 13억96만원의 보수를 받아 전년보다 3.3% 줄었다.
신 회장은 지주사인 롯데지주에서는 지난해 보수로 59억7200만원을 받았다.
급여 38억원, 상여 21억7000만원, 기타근로소득 200만원 등이다.
2023년 64억4900만원에서 상여가 줄며 7.4% 줄었다.
롯데지주 직원(263명)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1억5600만이다. 전년 직원(297명) 평균보다 2.0%. 300만원 늘었다.
신 회장은 롯데칠성음료에서도 지난해 전년보다 12.9% 늘어난 34억9300만원(급여 29억9800만원, 상여 4억95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롯데쇼핑에서는 3.4% 증가한 19억6400만원(급여 17억2500만원, 상여 2억3900만원 등)을 수령했다.
롯데케미칼에서도 지난해 상여없이 급여로만 전년보다 3천만원 줄어든 38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롯데웰푸드에서는 전년보다 8.5% 늘어난 26억5000만원(급여 22억2300만원, 상여 2억8200만원)을 수령했다.
신 회장이 2023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재계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았다.
지난해 하반기 효성에서 계열분리한 HS효성 조현상 부회장은 작년 총 323억8200만원의 보수를 받았지만 효성 퇴직금(171억9200만원)을 제외하면 순수 연봉은 151억9000만원이다.
CJ그룹 이재현 회장은 총 193억74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지주사인 CJ에서 156억2500만원, CJ제일제당에서 37억4900만원을 수령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115억1800만원(현대차 70억8700만원, 현대모비스 44억3100만원)을 받아 역시 '100억원 연봉 클럽'에 들었다.
관련기사
- [브리핑] 신세계면세점·신라면세점·롯데면세점
- 제주신라호텔, '우주' 테마 가족여행 특화 패키지 출시
- 현대모비스, 주요 차량 부품에 친환경 알루미늄 첫 도입
- 日 찾은 이재현 "다시 불붙은 한류 열풍, K컬처 확산 결정적 기회"
- 신라호텔, 끌레드뽀 보떼 스파 그랜드 오픈
- 신라면세점, B1A4 출신 '진영' 홍보모델 발탁
- 롯데지주, 유전체 서열분석 '테라젠헬스' 자회사 편입
- 신동빈, 한경협 인도네시아 경제사절단 이끈다
- 신동빈, 16∼17일 하반기 롯데 사장단 회의
- 롯데 신동빈 "10년 뒤 경영환경 예측해 현재 해야할 일 신속히 실행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