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언했다 국회의 의결로 계엄을 해제한 2024년 12월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증시와 외환시장 개장을 전하기 위할 취재진이 몰려 있다./연합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언했다 국회의 의결로 계엄을 해제한 2024년 12월 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증시와 외환시장 개장을 전하기 위할 취재진이 몰려 있다./연합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 불확실성이 증폭되자 4일 국내 증시가 패닉 증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계엄군 철수로 최악의 국면에서는 벗어난 데다 금융당국이 10조원 규모 증시안정펀드 가동 방침을 밝히면서 시장 불안감은 다소 진정돼 가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15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1% 하락한 2452.34를 나타내고 있다.

코스피는 개장 직후 전장보다 49.34포인트(1.97%) 내린 2450.76으로 출발한 뒤 그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같은 시간 코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2.18%) 내린 675.58을 기록 중이다.간밤 뉴욕증시에서도 뉴욕 증시에 상장된 한국물 상장지수펀드(ETF)도 급락세를 보였다.

대부분 종목들에 파란불이 들어온 가운데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고려아연(+8.24%), 카카오(+6.64%)만 오름세다.  

MSCI 한국 증시 ETF(상장지수펀드)는 한 때 7% 가까이 떨어지다 낙폭을 줄이면서 1.59% 하락 마감했다.

코스피 야간선물지수는 1.80% 내렸으며, 전날 1402.90원을 기록한 원/달러 환율은 야간 거래에서 1425.00원으로 마감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오후 10시 23분경 긴급 대국민담화를 열고 야권의 지속되는 야당의 검사, 감사원장 등 탄핵소추와 예산안 단독 감액을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비상계엄 선포는 1979년 10·26 사건 이후 45년 만으로, 1987년 민주화 이후로는 초유의 사태다.

국회는 곧장 ‘비상계엄 해제요구 결의안’을 상정해 이날 오전 1시 2분 재석 190인 중 찬성 190인으로 통과시켰다.

이후 윤 대통령은 오전 4시 27분경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중계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를 해제키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8시30분 김병환 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장, 금융공공기관 등 유관기관장, 금융협회장들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10조원 규모 증권시장안정펀드(증안펀드) 가동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오늘 아침에 개최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당분간 주식·채권·단기자금·외화자금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하기로 했다"면서 "특히 증시는 10조원 규모의 증안펀드 등 시장안정조치가 언제든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채권시장·자금시장은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와 회사채·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을 최대한 가동해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증권가에서는 비상계엄 선포·해제 사태로 국내 증시의 단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태 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가 불가피해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 한다”며 “하지만 비상계엄이 선포 직후 해제됐고, 이 과정에서 환율, 야간 선물 시장 등 낙폭이 축소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 충격 강도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오늘 채권시장에 대한 외국인의 수급이 결국 주식시장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관련 수급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국 증시는 계엄령 발표와 해제 등 정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부담”이라고 말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시장에서 이탈하면서 주가가 급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다만 이슈가 빠르게 해소됐다는 점에서 주가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 참여자들은 국내 정치 리스크가 주식·환율 등 금융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을 주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있는 상태”라며 “한국 고유의 정치 불확실성이 증폭된 상태이므로 향후 단기적으로 국내 증시의 변동성 확대를 감내해야 할 듯하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