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단점 극복
저온 충격·난연성 모두 필요한 실외용 시장 등 공략

삼양사가 개발한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이용해 얇게 가공한 투명 판넬 / 사진=삼양홀딩스
삼양사가 개발한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이용해 얇게 가공한 투명 판넬 / 사진=삼양홀딩스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삼양그룹의 화학, 식품 계열사 삼양사가 난연제를 넣지 않은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를 자체 기술로 개발해 본격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하면서 충격과 열에 강해 자동차와 가전제품 내외장재, 방음벽, 의료기기 부품 등에 주로 쓰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삼양사가 개발한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는 삼양사 전주EP 공장, 삼양화성 전주 공장에서 생산된다.

보통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생산은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식이지만 투명성, 충격 강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난연제인 염소, 브롬 등 할로겐계 물질은 소각하면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는 2012년 삼양사가 국산화한 실리콘폴리카보네이트를 기반으로 난연제 첨가 없이 물질결합구조를 변경해 개발됐다.

특히 저온에서의 충격강도, 내화학성 등이 일반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더욱 뛰어나다는 것이 삼양사 측의 설명이다.

삼양사의 친환경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는 ‘UL 94’ 테스트 수직연소평가의 최고 등급인 ‘V-0’기준을 충족했다. UL 94는 안전규격개발 및 인증기관인 미국의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이 개발한 난연성 테스트다. V-0는 수직으로 불을 붙였을 때 10초내에 자체 소화되는 플라스틱에만 부여된다.

삼양사는 기존 투명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대비 뛰어난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과 투명성 등을 내세워 전기전자, 자동차 외에도 실외 조명, 실외용 디스플레이, 전기차 충전기, 항공기 외장재, 건물 및 인테리어 내외장재, 의료기기 등 난연성과 투명성, 저온 충격성이 모두 필요한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삼양사는 친환경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확대를 위해 제품의 베이스 레진(단일 소재로 구성된 플라스틱) 형태로도 타화학 기업들에 공급할 예정이다.

베이스 레진을 공급받은 화학 기업은 건축, 자동차, 항공 등 최종 제품이 필요로 하는 특성에 맞춰 컴파운드(베이스 레진에 첨가물을 섞어 물성을 개선한 제품)를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