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기반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 공동개발

12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KT융합기술원에서 진행된 ‘항공·우주 분야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김이한 KT융합기술원장,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한화시스템
12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KT융합기술원에서 진행된 ‘항공·우주 분야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김이한 KT융합기술원장,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한화시스템

[포쓰저널=문기수·이현민 기자] 한화시스템은 KT와 ‘항공·우주 분야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한화시스템의 인공위성 초정밀 지향·추적(PAT) 기술과 KT의 양자암호 기술을 접목시켜 ‘레이저 통신 기반의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양자암호통신은 에너지의 최소단위인 양자를 활용, 광자(빛 알갱이)에 정보를 담아 데이터를 보호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제3자가 접근하면 데이터 내용이 어그러져 양자컴퓨터에 의한 해킹·도청 등의 보안 위협에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초정밀 지향·추적 기술은 지구 저궤도상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통신위성들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하는 기술이다. 위성 간 레이저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위성 간 링크(ISL)’의 핵심 기술이다. 한화시스템은 2021년 국내 최초로 ISL 개발에 착수했다.

양사는 ISL의 주요 기술인 초정밀 지향·추적기술을 통해 양자통신의 원거리 송수신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여 무선 양자암호통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은 “한화시스템은 이번 협약을 통해 확보하게 될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방산은 물론 위성·UAM 등 보안과 안전이 생명인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협력을 통해 양자암호통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나가는데 힘쓸 것이다”라고 했다.

김이한 KT융합기술원장은 “무선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위성통신을 포함하는 6G 시대를 준비하는 KT의 핵심 기술 요구사항이다”라며 “국내 방위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한화시스템과의 기술 협력으로 양자 분야의 국가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