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6일 코엑스, 역대 최대 규모 대최

2024년 9월 1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대한상공회의소
2024년 9월 1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대한상공회의소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혁신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기업·단체들의 행사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 두번째 행사가 개막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5~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를 연다고 밝혔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디자인하다’(Designing the Sustainable Future)다. 

사회적 기업에서부터 대기업 등 국내를 대표하는 사회문제 해결사 300여개사, 일본 소프트뱅크, 유럽 VBA 등 국내외 사회혁신 리더, 관련 전문가 350여 명이 리더스서밋에 함께 했다. 일반 시민과 학생을 포함 1만 여명도 함께 해 열기를 더 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영상 개회사를 통해 “사회적가치 페스타는 단순한 대화의 장을 넘어 기업이 사회적 가치의 본질을 체감하고, 시민사회와 함께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공동의 학습장”이라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과 함께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문제 현황과 해결 성과를 정확히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한 성과 기반 보상 구조를 제도화해야 지속가능한 변화와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알라 무라비트 UN 사회·보건 분야 고위 임원(High-Level Commissioner)은 축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는 자선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를 만드는 선택에서 비롯 된다”며 “이 자리는 단순한 행사를 넘어, 전 세계가 함께 나아가는 하나의 흐름이자 운동”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필요한 것은 더 기다리지 않는 용기와 책임 있는 행동”이라며 “모든 결정의 중심에 사람을 두고, 함께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자”고 말했다.

사회적가치 페스타 메인세션으로 열린 ‘리더스서밋’에는 다양한 사회혁신 리더 350여명이 참석해‘사회문제 해결 성과관리와 글로벌 동향’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신현상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조강연을 통해 효율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가치의 측정 필요성을 강조하며“사회적가치 측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센티브 매커니즘을 구축한다면 사회문제 해결과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케다 마사토 일본 소프트뱅크 CSR 본부장은“실제 사업이 창출한 직접적 효과와 중장기 간접효과를 경제, 환경, 사회 3개 범주 14개 항목으로 정량화해 화폐가치로 환산하고 있다”며 투자자, 주주, 사내 담당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직관적으로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소프트뱅크의 사회적가치 측정 체계를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크리스티안 헬러 VBA 최고경영자(CEO)는 “2019년부터 유럽 기업들의 사회적 성과를 평가하거나 설명하는 방식을 바꾸고자 하는 목표로 VBA(Value Balancing Alliance)를 설립했다”며 “유럽 내 회원사들은 지난 5년간 VBA 체계에 기반해 사회문제 해결 성과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했고, 측정 결과는 회원사의 중요한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소개했다.

남보현 HGI 대표는‘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임팩트 투자 사례’발표를 통해 “HGI는 투자기업과 이해관계자의 지속성장을 목표로 사회문제-솔루션 분석 프로세스를 마련해 펀드 설계, 투자기업 판별 및 관리를 하고 있다”며 “재무적 숫자 뒤에 가려진 의미를 확인해 사회에 실질적인 변화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사회적가치 페스타에는 카카오임팩트, LG화학 등 대기업에서부터 사회적 기업, 임팩트투자 등 300여개 기업이 참가해 280여개 전시부스와 다양한 세션을 통해 각자의 사회문제 해결 사례와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스토리 로드(Story Road)’콘셉트로 꾸며진 페스타 전시는 사회문제를 협력, 미래세대, 혁신, 기후환경 등 네 가지 길로 나눠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사례를 연결했다.

‘미래세대의 길’에서는 교육 격차 해소와 청년 성장 프로젝트가, ‘혁신의 길’에서는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해법들이 소개됐다.

‘기후환경의 길’은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에너지 전환 모델을, ‘협력의 길’에서는 장애인·이동약자 등 취약계층의 생활을 돕는 아이디어와 민관 협업 사례가 소개됐다.

이 밖에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청년 정신건강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메타포레스트’, 청각장애인의 소통을 돕는 AI 실시간 문자통역 서비스, 이동약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전동 휠체어 키트’, 중증장애인을 위한 가상현실(VR) 직원훈련 키트 등도 전시됐다.

행안부의 청년마을 프로젝트, 서울시의 사회문제 해결 플랫폼 등 공공 사례와 함께 LG화학의 청소년 환경교육·멘토링 프로그램 ‘라이크 그린’, 현대해상의 아동·청소년 정서 지원을 위한‘아이마음 프로젝트’ 등 민간의 사회적가치 실현 사례가 전시됐다.

대한상의는 올해 사회적가치 페스타를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행사로 만들기 위해 모든 전시 부스와 공간 디자인에 친환경 소재를 활용해 폐기물을 최소화했다.

부스 구조물에는 재활용이 쉬운 종이가구와 허니콤보드 자재를 사용했고, 행사 운영에 필요한 일부 전력은 재생에너지로 충당했다. 관람객 안내서와 프로그램 북 등 각종 자료도 종이 인쇄물 대신 QR코드(정보무늬) 기반의 디지털 안내로 대체해 종이 사용을 크게 줄였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사회적가치 페스타는 기술과 파트너십, 공감과 실행을 한데 모아 협력하는 열린 플랫폼”이라며 “기업, 정부, 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변화들을 모아 향후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데 보탬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대한상의와 사회적기업 SOVAC, SK텔레콤, 현대해상, 카카오임팩트, 한국국제협력단(KOICA), SM C&C, 루트임팩트, 임팩트스퀘어, COEX, 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한국경영학회가 후원했다.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 참여 주요 부스. 2025.8.25./자료=대한상공회의소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