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 분야 제품·서비스로 만든 사회적가치 2조원, 연평균 30% 성장
SK, 5년째 사회적가치(SV) 화폐화 측정치 발표

[포쓰저널] SK그룹이 지난해 환경과 사회 분야 비즈니스 모델 혁신으로 2조원의 사회적가치(SV·Social Value)를 창출한 것을 비롯해 모두 20조원이 넘는 사회적가치를 만들어냈다.
SK그룹은 주요 관계사들이 지난해 창출한 사회적가치 총액이 전년 대비 1조6000억원(8.6%) 가량 증가한 20조556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세부 지표 별로는 △경제간접 기여성과(E): 20조7775억원(고용 11조6000억원, 배당 4조4000억원, 납세 4조8000억원) △환경성과(E): -2조7598억원(환경 제품·서비스 9000억원, 환경공정 -3조6000억원) △사회성과(S): 2조5389억원(사회 제품·서비스 1조1000억원, 노동 6000억원, 동반성장 4000억원, 사회공헌 4000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과 사회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 영역에서 총 1조 9368억원의 사회적가치를 창출했다.
이 영역에서 지난 5년간 글로벌 경기 및 업황에 따라 등락을 보여온 경제간접 기여성과와 다르게 연평균 30%의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SK그룹은 2018년부터 사회적가치 창출액을 측정해오고 있다. 환경·사회 분야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고 신사업을 활발히 추진, 사회적가치 총량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각 관계사들로 하여금 사회적가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측정 결과를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사회적가치 창출 노력을 배가해 나갈 것을 독려해왔다.
이에 각 관계사들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 자체로 사회적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사업 전반의 구조적인 변화를 꾀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SK 측은 설명했다.

카본 투 그린(Carbon to Green) 전략을 이행중인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자회사 SK온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각각 생산하는 전기차 배터리와 전기차 배터리 분리막 등 환경 분야 제품이 사회적가치 창출에 크게 기여했다.
또 대표적인 온실가스 배출 물질인 프레온을 대체하는 발포제 생산으로 935억원, 재활용 전용 아스팔트 개발 및 판매로 61억원 등 다방면의 환경 제품으로 사회적가치를 창출했다.
SK이노베이션은 앞으로 폐플라스틱 리사이클, 폐배터리 금속 재활용(BMR: Battery Metal Recycle), 폐윤활유 업사이클링 등 새 사업 모델도 추진중에 있다.
SK E&S의 수소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SK에코플랜트의 태양광과 수소, 폐기물 처리 사업, SKC의 동박 등 반도체 소재 사업과 같은 탈탄소 및 친환경 에너지 사업 추진이 최근 수년 간 두드러졌다.
사회 분야 제품 및 서비스 영역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 분야 사회적가치가 지난해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는데, 이는 5년전인 2018년 1900억원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안전과 보건 분야에서 2021년과 비교해 사회적가치 창출액이 각각 768억원, 573억원씩 늘어나는 등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예를 들어 SK텔레콤은 보이스피싱 예방 서비스를 통해 지난해 10만 5000여건의 범죄번호로의 발신을 차단함으로써 767억원의 사회적가치를 창출했다. 또 2018년부터 기상청과 공동으로 초소형 지진감지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해 130억원, 독거 어르신 인공지능(AI) 돌봄 서비스로 98억원의 사회적가치를 창출하는 등 AI·ICT 기술 기반의 사회안전망 성과가 크게 성장했다.
SK 관계자는 “이해관계자들이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하는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나고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며 “이런 식으로 사회적가치가 SK 각 관계사 사업에 내재화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SK그룹이 경제적가치(EV·Economic Value)와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더블보텀라인(DBL)’ 경영을 선도적으로 추진한 결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포함된 사회 각 영역에서 DBL 경영이 확산중인 것도 의미있는 변화로 꼽혔다.
실례로 SK하이닉스의 13개 협력사가 사회적가치 성과 화폐화 측정을 시도했고 지난해 기준 총 1조 4698억원을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이들 협력사들은 지속가능경영 관리 체계를 고도화하고, 관련 자료를 요구해 온 국내외 고객사들의 요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최태원 회장 주도로 시작한 SK 사회성과인센티브(SPC·Social Progress Credit) 프로그램 역시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SK그룹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전라남도와 제주도 등은 지자체 내 우수 사회적기업을 선정해 사회성과인센티브 제도에 참여하게 하고, 사회적가치 창출 성과와 연계한 장려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SK그룹은 측정 기준의 고도화를 위해 글로벌 화폐화 측정 연합체인 VBA(Value Balancing Alliance)와 협력중이고, 중국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를 지원해 사회 성과 측정 및 관리 체계를 확산시키고 있다.
최 회장은 사회적가치 측정 및 발표 5년을 맞아 “사회적가치 화폐화 측정을 기반으로 더 많은 사회적가치가 창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데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SK 각 관계사들은 이날부터 사회적가치 창출 성과와 산식 등을 사별 홈페이지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SK 사회성과인센티브, 지방자치단체로 확대…전남도와 MOU
- 최태원 제안 'SK 사회성과인센티브', 다보스포럼서 호평
- SK하이닉스 "반도체+사회적 가치"..SV 창출 페스티벌
- SK '2022울산포럼' 폐막...최태원 "미래를 위한 대전환, 울산포럼이 단초될 것"
- 'SOVAC 2022' 개최..최태원 "연결과 협력으로 사회문제 해결"
- SKT, 호국보훈의 달 맞아 국군 장병 통신혜택 강화
- SK하이닉스, 포터블 SSD 시장 공략...'비틀 X31' 첫 선
- SKT, 신한카드와 'T멤버십' 제휴카드 출시.."아웃백·빕스, 최대 30% 포인트"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층 238단 4D 낸드 양산 돌입
- '사회 안전망 구축' SKT, 작년 사회적 가치 2조4927억원 창출
- SK이노, 홀몸어르신 대면봉사 3년만에 재개
- SK 구성원 역량 강화 플랫폼 '써니', 고대·연대·한대와 인재육성 MOU
- SK스퀘어, 사회적가치 첫 공개..작년 1498억원 창출
- 최태원 "위기 대응 시나리오 플래닝 경영 고도화해야"
- SK㈜, SK이노·한수원과 '청정 에너지 사업협력' MOU
- SK그룹 후원 美 뉴욕 '한국문화행사' 성료
- 최태원의 4반세기 리더십...'착하게 돈벌기'로 재계 2위 우뚝
- "약자 동행 가치 확산" SK-서울시 맞손..최태원 "사회문제, 민·관 등 통합적 협력으로 풀어야"
- 제2회 사회적가치 페스타 개막..최태원 "사회문제 해결 성과 보상 제도화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