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과 파트너십 및 ESG경영 가속화 성공모델" 평가

[포쓰저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제안하고 추진한 사회성과인센티브(Social Progress Credits) 프로그램이 올해 다보스포럼에서 호평을 받았다.
24일 SK그룹에 따르면 다보스포럼을 주관하는 세계경제포럼(WEF) 사무국은 최근 인터넷 홈페이지에 ‘사회적기업들과의 협력이 어떻게 대기업들에게 지속가능 혁신의 방안이 되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기사(Agenda article)를 통해 대표적인 성과 사례로 SK의 사회성과인센티브와 세계 최대 맥주회사 안호이저-부시 인베브(AB InBev)의 스타트업·소셜혁신기업 펀딩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최태원 회장은 전세계 정·재계 리더들과 석학들이 모여 글로벌 문제 해법을 모색하는 다보스포럼에서 2013년 사회적기업들이 창출하는 ‘사회성과’에 비례해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세계경제포럼 사무국은 “글로벌 선진 기업들은 전통적 CSR(사회적책임)에서 탈피,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으로 소셜 임팩트 창출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목표 달성에 나서고 있다”며 “특히 SK는 사회적기업들이 창출하는 사회적가치에 비례해 금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독창적이면서도 효과적인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해 왔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로써 SK는 정보기술(IT)에서 농업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기업들이 지속가능 사회를 위한 더 큰 소셜 임팩트를 창출하는데 도움을 줘 왔다”고 말했다.
사무국은 특히 “사회적기업들이 창출한 사회적가치 측정 관련 노하우는 SK의 사회적가치 측정 방법론을 발전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됐다”며 “이 같은 측정 결과 SK그룹의 2021년 사회적가치 창출 총량은 전년 대비 60%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의 아이디어로 출발한 사회성과인센티브가 사회적기업 생태계 자생력을 키우는 동시에 사회적가치(SV) 창출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올려왔다고 평가한 것이다.
SK그룹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326개의 사회적기업이 참여한 사회성과인센티브를 운영한 결과 △일자리 창출 △사회 서비스 제공 △환경문제 해결 △생태계 문제 해결 등 4개 분야에서 총 3275억원의 사회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SK그룹은 인센티브로 총 527억원을 사회적기업들에 지급했다. 재원은 SK가 설립한 사회적기업 ‘행복나래’와 SK 멤버사들이 낸 기부금으로 마련됐다.
인센티브 지급으로 재정적 안정을 찾은 사회적기업들은 더욱 성장했다.
20억원의 인센티브를 제공받은 노인 요양 및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부케어, 3억8000만원을 지원받은 농촌 취약계층 직원들과 제철 이유식을 만드는 에코맘산골이유식은 사회성과 연평균 성장률이 각각 30%, 40%를 넘나들고 있다.
국제 경영학술계도 SK의사회성과인센티브(Social Progress Credits) 프로그램을 주목하고 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이 발간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는 2020년 1월 ‘SK그룹: 사회성과인센티브(SK Group: Social Progress Credits·SPC)’ 사례연구를 게재했다.
정선문 동국대 교수(회계학)와 신재용 서울대 교수(경영학)가 사회성과인센티브의 효과성을 다룬 논문도 세계 최고 권위의 ‘매니지먼트 사이언스(Management Science)’에 지난해 10월 게재됐다.
SK가 출자해 설립한 비영리연구재단인 사회적가치연구원(CSES)은 경기도 화성시와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협력사업 및 사회성과인센티브의 국내외 확산을 추진중이다.
관련기사
- 최태원, 세르비아 대통령 만나 '전기차·배터리·DX·그린에너지·바이오' 협력 논의
- 최태원·이재용·정의선·구광모·신동빈, 다보스서 '부산엑스포' 유치 총력전
- 尹 UAE 순방 '100인 경제사절단'..이재용·최태원·정의선 등 동행
- 다보스포럼 간 SK 최태원 "사회적가치 측정 모델 개발하자"
- 다보스 사로잡은 '사회적 가치 전도사' 최태원
- 최태원 "국내외 경제 2023년에도 어두운 터널...생각보다 꽤 어렵다"
- 최태원 "조직 다양성이 신사업 발굴 원동력"
- "사회적 기업 인재 양성" 최태원 철학 결실..KAIST SE MBA 10주년
- SK, 작년 사회적가치 20.5조 창출..최태원 "비즈니스 모델 혁신하라"
- "약자 동행 가치 확산" SK-서울시 맞손..최태원 "사회문제, 민·관 등 통합적 협력으로 풀어야"
- SK 사회적기업 생태계 지원성과, 글로벌 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