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년간 1조엔 규모 발행 목표

암호화폐를 형상화한 이미지(Representations of cryptocurrencies). 2022.8.10. /이미지=로이터연합
암호화폐를 형상화한 이미지(Representations of cryptocurrencies). 2022.8.10. /이미지=로이터연합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일본 금융당국이 이달 엔화 스테이블코인을 승인하고 올해 본격적으로 발행해 유통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이 '지니어스법'을 통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공식화한 데 이어 준 기축통화인 엔화 기반 스테이블코인까지 유통되면 글로벌 통화 체계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FSA)은 이르면 올 가을에 엔화 표시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을 승인하는 방향으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 법정통화 연동형 디지털 통화가 처음으로 인정되게 된다.

도쿄에 거점을 둔 핀테크 기업 JPYC가 이달 중 FSA에 자금이동업자로 등록하고 몇 주 안에 엔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주도할 예정이다.

일본은 2023년 6월 시행한 개정 자금결제법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통화표시자산’으로 정의해 암호화폐와 구분했으며 은행, 신탁회사가 발행할 수 있도록 했다.

JPYC는 '1JPYC = 1엔'의 가치를 유지하게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설계됐다. 은행 예금이나 일본국채와 같은 고(高)유동성 자산을 담보로 한다. 

개인이나 법인이 구매 신청을 하면 은행 송금을 통해 토큰이 디지털 지갑에 발행되는 구조다.

이번 일본 당국의 자국화폐 스테이블코인 승인으로 테더(USDT)나 서클의 USDC와 같은 달러 연동형 자산이 주도하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일본 스테이블코인이 도전하는 모양새가 됐다.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시장규모는 최소 2860억 달러(약 396조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달러 스테이블코인은 이미 일본 시장에 유입되고 있지만, 엔화 스테이블코인은 이번이 처음이다.

JPYC는 향후 3년간 1조엔 규모 발행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헤지펀드나 부유층 자산을 관리하는 패밀리오피스 등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며 “금리차 수익을 노린 캐리 트레이드에 JPYC를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고 했다.

JPYC는 △해외 유학생 송금 △법인 결제 △블록체인 기반 자산운용 서비스 등 여러 지급결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