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자산 5조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공시대상기업집단 수 92개 전년비 4개 증가
빗썸·LIG·대광·사조·유코카캐리어스 등 5개사 신규 지정
한국앤컴퍼니·두나무, 상출제한기업집단 지정
교보생명·태영·에코프로,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하향

정부 세총청사 공정거래위원회 /연합
정부 세총청사 공정거래위원회 /연합

 

[포쓰저널] 지난해 토지자산 평가로 자산이 증가한 롯데가 철강업 및 이차전지 업황 악화로 실적이 부진한 포스코를 제치고 재계 순위 5위로 올라섰다. 

예대마진 확대 등으로 자산이 증가한 농협이 재계 순위 9위에 오르며 석유화학업 업황 악화로 실적이 줄어든 GS와  순위를 바꿨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가상자산 거래가 활성화되며 빗썸은 공시대상기업집단(재벌)으로  신규 지정됐다. 두나무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상향 지정됐다.

방산업체인 LIG,  자동차 운송업을 주력으로 하는 유코카케리어스, 수산업에 특화된 식품기업인 사조, 건설장비업체인 대광 등도 공시대상시업집단에 신규 지정됐다.

1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92개 기업집단(소속회사 3301개)을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통지했다고 밝혔다.

◆ 공시대상기업집단 빗썸 등 5개사 신규 진입,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한국앤컴퍼니그룹·두나무 편입

공시대상기업집단 수는 지난해 88개 대비 4개 증가한 반면, 소속회사 수는 지난해 3318개 대비 17개 감소했다.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된 집단은 엘아이지, 대광, 사조, 빗썸, 유코카캐리어스 등 5개다.

공정위는 같은 날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자산총액이 가장 최근의 명목 GDP 확정치(2324조원)의 0.5%에 해당하는 11조6000억원 이상인 46개 집단(소속회사 2093개)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통지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수 및 소속회사 수는 지난해 48개, 2213개사 대비 각각 2개, 120개 감소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상향 지정된 집단은 한국앤컴퍼니그룹, 두나무 2개사다.

지난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이었던 교보생명보험, 태영 및 에코프로의 경우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하향 지정됐다. 금호아시아나의 경우, 자산총액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올해 2월 지정이 제외된 바 있다.

공시대상기업집단 및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들은 1일부터 대규모기업집단 시책을 적용받게 된다.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회사에게는 공정거래법에 따른 공시 의무,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금지등이 적용된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의 경우 이에 더해 상호출자 금지, 순환출자 금지, 채무보증 금지, 금융·보험사 의결권 제한 등이 적용된다.

◆  방산·가장사잔·해운업 재계 순위 상승..보험업은 하락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은 지정학적 갈등 심화, 미국 대선 등 기업집단을 둘러싼 대외환경 변화의 영향으로 방위산업, 가상자산업 및 해운업 주력회사의 자산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관련 집단들이 신규로 지정되거나 재계 순위가 상승했다.

주요 방위산업회사를 계열회사로 둔 한화, 한국항공우주산업, 엘아이지의 자산이 모두 증가했다. 특히, 엘아이지는 자산이 2조 원 이상 증가하며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됐다.

또한, 지난해 말 미국 대선을 앞두고 가상자산 거래가 활성화되며 가상자산업 주력집단인 두나무, 빗썸의 자산이 증가하고 순위가 상승했다. 특히, 두나무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상향 지정, 빗썸은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됐다.

중동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운임률 상승으로 인한 영업이익 증가 및 지난해 말 급격한 환율 상승에 따른 표시통화 환산이익 발생 등으로 HMM, 장금상선, 유코카캐리어스의 자산이 증가하고 순위가 상승했다.

특히, 자동차 운송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집단인 유코카캐리어스는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되었다.

반면, 보험업 주력 집단의 경우 자산이 감소하거나 재계 순위가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의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로 보험계약부채가 증가(자본 감소)함에 따라 보험업 주력집단인 DB, 교보생명보험, 현대해상화재보험의 공정자산이 감소하고 순위가 하락했다.

◆ 한진·한국앤컴퍼니·사조 등 M&A로 재계순위 상승

기존 소속회사와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 이루어진 대형 M&A도 기존 집단 자산 변동 또는 신규 집단 지정에 영향을 주었다.

한진의 경우,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기업결합을 완료함에 따라 아시아나항공㈜ 등 8개사가 계열회사로 편입된 영향으로 전년 대비 자산이 크게 증가(19.1조 원)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가 자동차 부품 제조사인 한온시스템㈜ 등 3개사를 인수하면서 자산이 증가(11.1조 원)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상향 지정됐다.

사조는 ㈜사조대림 등이 식품 제조 및 유통사인 (유)사조씨피케이, 푸디스트㈜ 등 7개사를 인수함에 따라 자산이 증가(1.4조 원)해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되었다.

지난해에 이어 연속으로 지정된 87개 기업집단들의 경우 일부 집단에서 동일인의 그룹 지배력이 이전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존 동일인들의 지배력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됨에 따라 동일인을 변경하지 않았다.

한편, 지난해 개정 시행령에 따라 법인을 동일인으로 해여 지정된 쿠팡과 두나무의 경우 올해도 시행령 상 예외요건을 모두 충족해 자연인이 아닌 법인인 쿠팡㈜와 두나무㈜를 동일인으로 해 지정했다.

공정위는 이번 지정결과를 바탕으로, 지정된 대상 집단에 대해 고도화된 분석을 통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공개해 유용한 정보를 시장참여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주식소유현황(9월), 채무보증현황(10월), 금융보험사 의결권행사현황(10월), 내부거래현황(11월), 지주회사현황(6・12월), 지배구조현황(12월) 분석·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2024년부터는 고정된 자산총액 기준이 아닌 명목 GDP의 0.5% 이상인 집단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해오고 있는 데 따라 내년에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기준은 올해처럼 명목 GDP의 변화를 반영해 자동적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
                (단위: 개, 십억 원)
순위 기업집단명 동일인 계열회사수 공정자산총액
2025년 2024년 변동 2025년 2024년 2025년 2024년
1 1 0 삼성 이재용 63 63 589,114 566,822
2 2 0 에스케이 최태원 198 219 362,962 334,360
3 3 0 현대자동차 정의선 74 70 306,617 281,369
4 4 0 엘지 구광모 63 60 186,065 177,903
5 6 1↑ 롯데 신동빈 92 96 143,316 129,829
6 5 1↓ 포스코 포스코홀딩스(주) 49 47 137,816 136,965
7 7 0 한화 김승연 119 108 125,741 112,463
8 8 0 HD현대 정몽준 32 29 88,720 84,792
9 10 1↑ 농협 농업협동조합중앙회 56 54 80,059 78,459
10 9 1↓ 지에스 허창수 98 99 79,317 80,824
11 11 0 신세계 이명희 59 53 63,859 62,051
12 14 2↑ 한진 조원태 42 34 58,171 39,092
13 12 1↓ 케이티 (주)케이티 47 48 46,258 46,859
14 13 1↓ 씨제이 이재현 66 73 39,371 39,854
15 16 1↑ 엘에스 구자은 72 67 35,952 31,965
16 15 1↓ 카카오 김범수 115 128 34,848 35,127
17 20 3↑ 에이치엠엠 에이치엠엠(주) 4 5 33,453 25,508
18 17 1↓ 두산 박정원 24 22 28,150 26,960
19 18 1↓ DL 이해욱 45 45 26,969 26,769
20 21 1↑ 중흥건설 정창선 51 53 26,731 24,935
21 19 2↓ 셀트리온 서정진 9 8 26,667 25,696
22 23 1↑ 네이버 이해진 45 54 25,477 22,802
23 25 2↑ 에쓰-오일 에쓰-오일(주) 2 2 24,509 21,640
24 22 2↓ 미래에셋 박현주 28 30 23,454 23,262
25 27 2↑ 쿠팡 쿠팡(주) 16 13 22,270 17,626
26 24 2↓ 현대백화점 정지선 24 27 22,255 22,184
27 49 22↑ 한국앤컴퍼니그룹 조양래 25 24 21,525 10,377
28 26 2↓ 부영 이중근 21 21 21,452 21,066
29 32 3↑ 영풍 장형진 30 28 20,900 16,886
30 29 1↓ 하림 김홍국 43 45 19,956 17,336
31 33 2↑ 효성 조현준 60 57 19,829 16,506
32 38 6↑ 장금상선 정태순 28 27 19,491 14,201
33 30 3↓ SM 우오현 58 58 18,330 17,079
34 31 3↓ 에이치디씨 정몽규 34 35 17,488 16,960
35 34 1↓ 호반건설 김상열 40 39 16,882 16,093
36 53 17↑ 두나무 두나무(주) 11 12 15,869 9,465
37 36 1↓ 케이티앤지 (주)케이티앤지 17 14 15,747 14,980
38 40 2↑ 코오롱 이웅열 45 48 15,170 13,052
39 37 2↓ 케이씨씨 정몽진 13 14 14,992 14,201
40 35 5↓ DB 김준기 24 25 14,832 15,714
41 43 2↑ 넥슨 유정현 23 19 14,522 11,907
42 41 1↓ 오씨아이 이우현 24 24 13,776 12,722
43 45 2↑ 엘엑스 구본준 17 17 12,674 11,357
44 44 0 세아 이순형 24 26 12,355 11,751
45 46 1↑ 넷마블 방준혁 31 35 11,803 11,311
46 48 2↑ 이랜드 박성수 32 31 11,626 10,910
47 39 8↓ 교보생명보험 신창재 16 14 11,105 13,207
48 58 10↑ 한국지엠 한국지엠(주) 3 3 10,847 8,775
49 52 3↑ 다우키움 김익래 45 48 10,386 9,539
50 51 1↑ 금호석유화학 박찬구 16 14 10,016 9,596
51 60 9↑ 대방건설 구교운 41 42 9,978 8,160
52 42 10↓ 태영 윤세영 51 82 9,817 12,315
53 54 1↑ 삼천리 이만득 33 47 9,664 9,428
54 56 2↑ KG 곽재선 26 34 9,620 9,160
55 47 8↓ 에코프로 이동채 17 23 9,387 11,219
56 57 1↑ HL 정몽원 15 13 9,251 8,839
57 55 2↓ 동원 김남정 23 26 8,894 9,383
58 59 1↑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15 13 8,670 8,350
59 50 9↓ 태광 이호진 20 20 8,668 9,663
60 64 4↑ 크래프톤 장병규 9 8 8,513 6,996
61 70 9↑ 글로벌세아 김웅기 23 20 8,290 6,373
62 61 1↓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주) 4 4 8,128 7,238
63 63 0 엠디엠 문주현 19 15 7,992 7,013
64 86 22↑ 소노인터내셔널 박춘희 25 23 7,378 5,176
65 62 3↓ 애경 장영신 30 31 7,349 7,125
66 67 1↑ 동국제강 장세주 16 12 7,295 6,765
67 66 1↓ BS(舊 보성) 이기승 66 65 7,261 6,892
68 65 3↓ 삼양 김윤 13 13 7,134 6,927
69 - 신규 엘아이지 구본상 18 - 7,109 -
70 69 1↓ 중앙 홍석현 57 54 6,941 6,620
71 72 1↑ 유진 유경선 63 60 6,796 6,286
72 75 3↑ 고려에이치씨 박정석 26 24 6,705 5,857
73 77 4↑ BGF 홍석조 19 18 6,329 5,801
74 - 신규 대광 조영훈 64 - 6,110 -
75 83 8↑ 반도홀딩스 권홍사 15 18 6,097 5,335
76 78 2↑ 대신 양홍석 84 117 6,031 5,759
77 76 1↓ 오케이금융그룹 최윤 16 16 5,785 5,844
78 79 1↑ 하이트진로 박문덕 12 11 5,729 5,530
79 80 1↑ 농심 신동원 22 23 5,644 5,429
80 74 6↓ DN 김상헌 7 8 5,623 5,876
81 68 13↓ 현대해상화재보험 정몽윤 14 13 5,558 6,710
82 81 1↓ 신영 정춘보 32 33 5,553 5,397
83 88 5↑ 파라다이스 전필립 11 14 5,435 5,011
84 71 13↓ 아이에스지주 권혁운 32 36 5,410 6,325
85 85 0 하이브 방시혁 12 15 5,408 5,250
86 82 4↓ 한솔 조동길 21 21 5,359 5,369
87 84 3↓ 삼표 정도원 28 33 5,330 5,281
88 - 신규 사조 주진우 40 - 5,257 -
89 87 2↓ 원익 이용한 47 54 5,252 5,031
90 - 신규 빗썸 이정훈 20 - 5,207 -
91 - 신규 유코카캐리어스 유코카캐리어스(주) 2 - 5,110 -
92 73 19↓ 영원 성기학 20 50 5,024 6,089
- - 제외 금호아시아나 박삼구 - 24 - 17,391
3,301 3,318 3,301,792 3,074,324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