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노조, MBK규탄 기자회견
"MBK, 10년간 자본회수에만 혈안
약탈해간 수익 재투자해 정상화시켜야"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선제적 구조조정을 위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유통업체 홈플러스에 대해 노동조합이 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책임지고 파국을 막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트산업노동조합은 6일 오전 서울 광화문 D타워 MBK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K는 홈플러스를 죽이는 자산매각 구조조정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4일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신용등급은 하루만에 D로 급락했으며 상품권은 휴지조각이 되고 납품업체가 납품을 중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원들은 일자리, 퇴직금을 걱정하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규탄했다.
노조는 이번 사태의 원인이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에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홈플러스를 인수하기 위해 차입한 금액은 홈플러스에 막대한 금융비용으로 돌아와 경영상태는 극도로 열악해졌으며 MBK는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해 홈플러스 매장을 무차별적으로 매각했으며 현장에서는 수천명의 직영 직원이 감축됐다”며 “MBK는 아무런 자구 노력을 하지 않은채 갑자기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서 지금까지 어떠한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고 했다.
강우철 마트노조 위원장은 “홈플러스가 기업 사냥꾼 사모펀드에 의해 산산조각날 위기에 처했다”며 MBK를 강하게 비판했다.
강 위원장은 “잠재적 금융이슈에 대한 선제적 조치라는 이유로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한 것부터 정상적이지 않다”며 “홈플러스는 이미 흑자전환했고 기업회생을 신청앟 합리적인 이유가 안보인다”고 했다.
그는 “MBK는 홈플러스 인수 후 10년간 기업의 경쟁력보다는 자본회수에만 혈안이었다”며 “자본회수를 위해 자산을 매각 처분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홈플러스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왔고 매출 최상위권 매장마저 부동산 가치가 높다는 이유로 팔아치웠다”고 했다.
강 위원장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겨냥, “한국 최고 부자, 14조원의 재산을 가졌다는 김병주 회장은 그 막대한 돈을 기업들 쥐어짜 벌어들인거 아니냐”며 “양심이란 게 있다면 사재를 출원해서라도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김광창 서비스연맹 위원장 역시 “투기자본 MBK는 신자유주의가 만든 괴물”이라며 MBK를 강하게 규탄했다.
그는 “MBK는 기업회생을 통해 부채 부담을 줄여서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고 결국 매각차익을 벌어드리려고 할 것”이라며 “동시에 인력 감축, 임대료 조정, 점포폐점 등 악랄한 구조조정을 시도할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MBK는 홈플러스 회생을 위해서 지금까지 약탈해간 수익을 재투자해 홈플러스를 정상화시켜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노동자 민중이 만들 새로운 민주공화국에서 첫 번째 퇴출대상은 MBK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수용 홈플러스지부 위원장은 “MBK는 4일 오전 기습적으로 회생절차를 신청하며 우리 모두를 경악 속으로 몰아넣었다”며 “지금 현장에서는 회사가 언제 망할지, 폐점이나 정리해고로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몰라 직원들의 불안이 극에 달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지난 국정감사에서 김광일 MBK 대표(부회장)는 국민 앞에서 노동조합과 일장적 통보가 아닌 대화를 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러한 약속은 단 하나도 지켜지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MBK가 수천억을 고려아연 등에 투입하면서 왜 홈플러스에는 투입하려 하지 않는가. 결국 홈플러스를 정리하겠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MBK가 책임지고 홈플러스를 회생시키도록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기자회견 현장에는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도 참석해 노동조합과 홈플러스를 살리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해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쳤다.
김 대표는 “오늘의 상황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상황을 예비하고 막지 못한 국회와 정부의 잘못을 짚어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티몬·위메프 사태로 인해서 이미 유통업계의 먹튀 논란에 대해 우리 사회는 상당한 걱정을 가지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수차례 토론회와 국회안에서의 공청회가 있었지만 아직까지 사모펀드와 투기자본에 대한 명확한 법젇 통제 감시 장치를 마련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MBK가 어떠한 희생도 감수하지 않고 엑시트하려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을 국회에서부터 세워야 한다”며 “단 한명의 노동자와 협력업체의 입접 업체도 MBK의 잘못에 따하 희생되지 않도록 하는 적극적인 대책이 발표되야 한다”고 했다.
노조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에서도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함께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4일 선제적 구조조정을 위한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했다. 서울회생법원은 대표자 심문을 한 뒤 신청 11시간 만에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MBK는 2015년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 캐나다공무원연금(PSP Investments), 테마섹(Temasek)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7조2천억원에 홈플러스를 사들였다.
홈플러스가 갖고 있던 기존 차입금 1조2천억원을 승계한 것을 제외하면 실제 인수금액은 6조원이었다.
MBK는 유통 시장이 쿠팡 등 온라인 쪽으로 기우는 가운데 인수 차입금 이자 부담마저 커지자 알짜 자산을 하나둘씩 팔기 시작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영업이 종료됐거나 종료를 앞둔 점포는 25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완전히 폐점한 점포는 14개다. 여기에는 매년 매출 상위권에 들던 경기 안산점, 부산 가야점 등도 포함됐다.
MBK가 홈플러스를 운영한 기간 할인점은 141개에서 126개로, 슈퍼마켓 체인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371개에서 308개로 각각 줄었다.

관련기사
- '법정관리' 홈플러스 가전 판매 막히나..LG전자 "납품 일시 중단"
- "홈플러스 상품권 안받습니다"...법정관리 휴유증 본격
- 홈플러스 기습 법정관리 파장..금융권 익스포저 1.4조 넘어
- 홈플러스 법정관리 개시..법원 "포괄적 사업 계속 허가"
- 홈플러스에 1.2조 물린 메리츠금융 "EOD 발생 즉시 담보처분권"
- 식품사도 홈플러스 납품 줄줄이 중단.."대금 미지급 우려"
- [특징주] 홈플러스 위기에…이마트·롯데쇼핑 연이틀 강세
- 민주당 "홈플러스 사태 MBK 사실상 사기..사법처리 돼야"
- 오뚜기, 홈플러스 납품재개.."대금 지급 문제 원만히 협의"
- MBK 이번엔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 인수 추진
- 홈플러스 단기채권 4019억 '비상'..금융사 '불완전판매' 책임 우려
- 국세청, 홈플러스 대주주 MBK 세무조사 착수
- [홈플러스 사태] 채권 투자자들 분통…"현대카드 등도 공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