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형·자연형·웰니스형 3개 모델 제시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경상북도 영양에 중·장년 은퇴자의 산촌 정착지원을 위한 임대형 산채 스마트팜이 조성된다.
8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일월면 일원에 2027년까지 120억원을 투입해 전국 최초로 임대형 산채 스마트팜을 만들고 임대형 모듈러 주택 20동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경북도는 산림대전환 사업의 일환으로 전날 이같은 스마트팜 혁신단지를 비롯해 자연인 마을, 자작누리 산촌마을 등을 조성하는 ‘4060+ K-산촌 드림’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4060+ K-산촌 드림은 지역 산림자원을 활용해일자리, 주거, 휴양을 제공하는 귀산촌 시범사업이다.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중장년을 위해 소득형, 자연형, 웰니스형 3개 모델을 제시하고 실제 귀산촌 생활을 해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산림면적 80%가 넘는 대표 산촌 지역인 영양에서 첫 시범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경북도는 임산물로 고소득을 희망하는 중장년 귀산촌 예정자 20명에게 어수리 등 산채를 재배하는 스마트팜(0.2ha)과 임대주택 1동을 최대 5년간 임대한다.
어수리 시설재배 임업인과 협업해 귀산촌인에게 산채재배 신기술을 교육하고 지역 임가가 함께하는 공동 브랜드와 유통, 판매 체계를 구축해 임대 기간 종료 후에도 지역 재배단지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인접지에 숲가꾸기 등 바이오매스 연료를 활용한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자립마을도 함께 조성해 난방열을 스마트팜에 공급하고 산림자원 이용을 통한 산림경영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신규 산림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산채 재배 주산지인 일월산 일원의 공유림 300여ha에서는 자연인의 삶을 희망하는 중장년 귀산촌 예정자 20명이 생활할 수 있는 ‘산속 자연인마을’을 조성한다.
임산물 생산 수익이 가능한 규모인 5~10ha의 공유림과 숲속의 집 1동을 최대 3년간 임대해 산 속에 거주하면서 산채, 두릅, 버섯류 등 단기 임산물을 재배하고 채취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산촌 생활이 가능하도록 재배 기술 교육, 임산물 판로지원, 지역민과의 사회관계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중점을 두고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웰니스형 모델인 ‘자작누리 명품 산촌마을’도 조성한다.
경북도는 수비면 죽파리 자작나무 명품 숲을 활용해 단기 체류 숙박과 사무공간을 갖춘 지역 상생형 산촌 우드스테이와 워케이션 공유형 사무실인 숲 오피스를 조성하기로 했다.
산촌 듀얼라이프, 4도 3촌 힐링 산촌 생활 등을 추구하는 중장년 귀산촌 예정자 20명이 6개월에서 1년간 단기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해당 기간 동안 자작나무 숲 등 국공립 시설과 연계한 산림휴양,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웰니스 생활을 경험할 수 있으며 지역민-귀산촌인 멘토링을 통해 산촌 정착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 경북도의 설명이다.
자작나무 특화 거리 조성, 로컬푸드 마켓 운영, 기업 연계 워케이션 프로모션, 창업․창작공간 지원 등 다양한 지역상생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범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산림·산촌활성화 지원센터도 운영한다.
센터는 수요자 모집, 귀산촌 교육, 일자리 및 주거․정착을 지원하고, 산림 순환경영을 위한 목재이용사업과 숲경영체험림 운영을 통한 부가수익 창출 등 사유림 산주도 지원한다.
경북도는 2027년 시범마을 조성과 동시에 귀산촌 예정자를 선발하고 2028년부터 4060+ K-산촌 드림 시범 사업을 본격 실행할 예정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림 대전환을 통해 도 면적의 70%가 넘는 산림을 ‘돈 되는 산’으로 만들고, ‘찾고 싶고 살고 싶은 산촌’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본 시범사업을 통해 도시의 분주함을 뒤로하고 자연 속에서 숲과 함께하는 삶을 꿈꾸는 중장년층의 로망을 현실로 바꾸는 귀산촌의 성공적인 모델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