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사 자금·혁신·인력양성 등 상생협력 활동 우수 평가

삼성전자가 광주사업장에서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3.0 킥오프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광주사업장에서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3.0 킥오프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포쓰저널=문기수 기자] 삼성전자는 동반성장위원회가 선정하는 '2022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해마다 여러 기업들이 최우수 등급을 받지만,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도입된 2011년부터 1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삼성전자는 '상생추구·정도경영'이라는 핵심 가치 아래 다양한 상생협력 활동을 펼치고 있고, 1차 협력회사뿐 아니라 2·3차 협력회사, 나아가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지원하며 상생협력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거래대금 지급 문화 개선을 위해 2005년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회사 거래드금을 현금으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2017년 1·2차 협력회사간 거래대금 지원용 물대지원펀드(5000억원), 2018년 3차 협력회사 전용 물대지원펀드(3000억원)를 조성해, 협력회사간 거래대금이 30일 이내에 현금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무이자로 대출해준다. 아울러 원자재 가격뿐 아니라 최저임금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0년부터 1조4000억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해 협력회사의 기술개발·설비투자 자금 등을 저금리로 대출해주고 있다.

또한, 반도체 협력회사의 안전사고 예방, 품질 향상 등을 위해 2010년부터 6000여 억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성전자의 원가 혁신 사례를 협력회사에 전수해 비효율 개선, 비용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 10년간 전액 무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한 협력사는 총1800여곳이다.

삼성전자는 협력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지원을 위해 2009년부터 국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특허를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개방해 올해 8월까지 약 2000여건을 무상 양도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는 중기부와 함께 '공동투자형기술개발사업'에 기금을 출연, 약 200억원을 지원했다. 2022년 신규 펀드 300억원을 추가 조성해 5년간 차세대 기술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술 확보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2013년 설립한 상생협력아카데미는 ▲협력회사 혁신을 지원하는 '컨설팅 센터' ▲혁신, 직무, 기술, 리더십 등의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교육 센터'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협력회사 인재 채용을 지원하는 '청년일자리 센터' 등으로 구성됐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열악한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고, 2018년부터는 중기부·중기중앙회와 협력해 삼성전자와의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수십년 제조·품질 노하우를 보유한 삼성의 전문가 200여명을 현장에 투입해 제조현장 혁신, 인력 양성, 사후 관리 등을 종합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간 전국 중소기업 총 3000여 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지난해 9월 중소기업중앙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사업 지원을 받은 국내 중소기업들은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 대비 2017~2020년 사이 평균적으로 매출은 23.7%, 고용은 26%, 연구개발(R&D) 투자는 36.8% 각각 더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