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 상용망 설치 및 필드 검증 완료

SK텔레콤 연구원들이 트래픽 혼잡 상황에 활용하는 솔루션을 테스트 하는 모습 /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 연구원들이 트래픽 혼잡 상황에 활용하는 솔루션을 테스트 하는 모습 / 사진=SK텔레콤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SK텔레콤은 노키아와 함께 클라우드 기반의 오픈랜(Open Radio Access Network, 개방형 무선 접속망)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망에 설치, 필드 시험을 통해 안정적인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속도 및 커버리지 성능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SK텔레콤과 노키아는 지난해 초 5G 64 TRx 장비와 연동된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으로 오픈랜 기지국 연구를 함께 진행해왔으며 이번에 상용망에 설치해 5G 성능을 실증했다.

양사는 향후 오픈랜 기지국으로 5G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지속할 계획이다.

SK텔레콤과 노키아는 트래픽 자동 최적화가 가능한 지능형 기지국 제어장치(RIC, 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 개발·검증에도 성공했다.

양사는 기지국 간에 트래픽을 분산하는 기술과 서비스 종류에 따라 패킷 지연시간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개발해 지능형 기지국 제어장치에 적용함으로써 5G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능형 기지국 제어장치는 기지국별로 동시 접속자 수, 트래픽 규모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해서 부하가 큰 기지국의 트래픽을 인접 기지국으로 분산시키는 방식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실증뿐 아니라 지난해 오픈랜 글로벌 협의체 오랜 얼라이언스가 주최하는 ‘플러그페스트’(PlugFest) 행사에 주관사 자격으로 참여해 오랜 규격을 준수하는 기지국 장비에 대한 다양한 실증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오랜 얼라이언스의 차세대 연구그룹(nGRG)에서 ‘6G 요구사항 및 서비스’ 분야의 공동 의장사로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 도코모와도 지난해 11월 업무협약을 체결해 협력 중이다.

SK텔레콤은 오픈랜을 통해 향후 주요 제조사들의 장비가 원활하게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이 네트워크 장비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담당은 “오픈랜은 AI(인공지능) 시대에 지능화된 네트워크로 진화하기 위해 중요하며 5G 고도화 과정과 6G 서비스를 위해서도 필요한 핵심 기술”이라며 “글로벌 파트너들과 개방형 생태계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역량 있는 국내 중소장비사들이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서도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