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도입, 시범사업 등 협력

유영상 SK텔레콤 CEO가 조비 에비에이션의 UAM 항공기에 탑승한 모습 / 사진=SK텔레콤
유영상 SK텔레콤 CEO가 조비 에비에이션의 UAM 항공기에 탑승한 모습 / 사진=SK텔레콤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SK텔레콤은 조비 에비에이션과 국제 IT·가전 전시회 'CES 2023' 및 UAM 생산시설을 방문, K-UAM 실증 준비현황을 점검하고 초기 상용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조비 에비에이션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제조기술을 보유한 미국 에어택시 스타트업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AA),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앞선 UAM 기체 인증을 진행하는 UAM 항공기 분야 최강자다. 

조비 에비에이션의 UAM 항공기는 세계적으로 공개된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중에서 가장 먼 거리를(249㎞/1h 17m) 가장 빠르게(330㎞/h) 비행할 수 있는 독보적 기술역량을 갖추고 있다.

유영상 사장을 포함한 SK텔레콤 주요 경영진은 CES 2023에 총 출동해 조벤 비버트 CEO, 에릭 앨리슨 부사장 등 조비 에비에이션 핵심 경영진과 만났다. 

양사는 올해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UAM 실증사업(K-UAM 그랜드 챌린지 1단계)의 성공적인 수행과 이후 한국 UAM 상용화를 위한 사업협력 강화 방안을 검토했다.

SK텔레콤은 조비 에비에이션의 기체를 국내에 도입할 때 필요한 형식증명 절차, 초기 UAM 수요를 발생시킬 다양한 시범사업 추진 방안, 항공기 이착륙장인 버티포트(vertiport) 인프라를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아이디어 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조비 에비에이션은 SK텔레콤과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기술원(KIAST),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관계자들을 미국 새너제이 소재 본사로 초청해 생산시설을 공개했다.

이번 방문은 UAM 상용화를 위해 민관이 협력하는 차원에서 성사됐다. UAM 상용화를 위한 SK텔래콤과 조비 에비에이션의 경쟁력을 소개하고 한·미 UAM 선도기업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 제언했다.

SK텔레콤과 조비 에비에이션은 올해 8월 본격 시작되는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통해 UAM의 안정성을 검증하고 운용기준이 마련되면 지속가능성 있는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본격 협업 2년차를 맞은 SK텔레콤과 조비 에비에이션이 한미 UAM 협업의 가교 역할과 K-UAM의 성공적 상용화를 이끄는 선봉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