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환 대표, 임직원, 노동조합 명의의 호소문 공개

신동환 푸르밀 대표이사 사장./사진=푸르밀
신동환 푸르밀 대표이사 사장./사진=푸르밀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사업종료와 정리해고를 통보했던 푸르밀 사측이 30% 감원을 조건으로 사업을 유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날 푸르밀은 신동환 대표이사, 임직원, 노동조합 명의의 호소문을 내어 "임직원의 30%를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영업을 정상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푸르밀은 호소문에서 “2018년부터 현재까지도 지속된 누적 적자로 10월 17일 사업종료를 통보했지만 사업종료만은 막아달라는 많은 이들의 요청에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며 비상경영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노동조합의 뼈를 깎는 희생과 도움으로 구조조정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했다.

이어 “여기에 자금지원의 용단을 내려 주신 주주분들의 지원으로 회사를 정상화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됐다”며 “이에 회사는 기존에 발표한 11월 30일부 사업종료를 전격 철회하고, 슬림화된 구조하에 갖추어진 효율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영업을 정상화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회사는 45년 전 창업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전하고자 하니 회사에 대한 미움을 거두어 주시고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봐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했다.

푸르밀 사측은 10월 17일 "매출감소와 누적된 적자로 인해 11월 30일 모든 사업을 종료한다"며 전 직원에 이메일로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이에 반발한 노조는 푸르밀의 일방적인 사업종료 반대 집회를 열고 이날까지 경영진과 네 차례에 결친 교섭을 진행했다.

3차 교섭때만 해도 노사는 합의점을 찾지 못해 폐업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었다. 당시 사측은 구조조정 조건으로 50% 임원감축을 제안한 반면 노조는 30% 감축안을 제시했다.

이후 8일 진행된 4차 교섭에서는 사측이 노조의 30% 감축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하며 사업유지 가능성에 다시 무게가 실렸다. 

푸르밀 관계자는 "영업을 정상화하고 임직원 감축을 단행한다고 해서 회사가 바로 흑자로 전환되기는 힘들 것"이라며 "우선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고 차후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