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밀
푸르밀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푸르밀 사측이 8일 노동조합과의 4차 교섭에서 사업 종료 대신 '30% 인력 감축 후 사업 유지'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신동환 대표 등 최고 경영진의 최종적인 의사결정만 남은 상태다.

김성곤 푸르밀 노조위원장은 이날 “전북 전주공장에서 사측의 비상대책위원들과 만나 갑작스럽게 교섭을 시작했다”며 "사측이 임원 30% 감축안 등 노조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사측이 임직원 30% 감축안에 대해 경영진과 협의하고 공식 결정을 내릴 예정”이라며 “향후 회사가 매각을 진행할 지 자체 운영하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날 교섭에 신동환 대표이사는 참석하지 않았다. 

3차 교섭 때만 해도 회사는 구조조정 규모에 노사 간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폐업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었다. 

당시 푸르밀 경영진이 회사 재매각을 위한 구조조정 조건으로 임원감축 50%를 제안하자 노조는 30%안을 역제안했다.

사측은 이번주 청산절차에 들어갈지 아니면 재매각을 통한 구조조정에 들어갈 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었다.

앞서 푸르밀 사측은 10월 17일 "매출감소와 누적된 적자로 인해 11월 30일 모든 사업을 종료한다"며 전 직원에 이메일로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이에 반발한 노조는 푸르밀의 일방적인 사업종료를 반대한는 집회를 열었으며 경영진과의 교섭도 이날까지 네 차례에 결쳐 진행했다.

푸르밀에 우유 원유를 납품하는 전북 임실 낙농가들도 폐업 예고에 반발하며 사업계속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