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푸르밀 사측이 8일 노동조합과의 4차 교섭에서 사업 종료 대신 '30% 인력 감축 후 사업 유지'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신동환 대표 등 최고 경영진의 최종적인 의사결정만 남은 상태다.
김성곤 푸르밀 노조위원장은 이날 “전북 전주공장에서 사측의 비상대책위원들과 만나 갑작스럽게 교섭을 시작했다”며 "사측이 임원 30% 감축안 등 노조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사측이 임직원 30% 감축안에 대해 경영진과 협의하고 공식 결정을 내릴 예정”이라며 “향후 회사가 매각을 진행할 지 자체 운영하게 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날 교섭에 신동환 대표이사는 참석하지 않았다.
3차 교섭 때만 해도 회사는 구조조정 규모에 노사 간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폐업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었다.
당시 푸르밀 경영진이 회사 재매각을 위한 구조조정 조건으로 임원감축 50%를 제안하자 노조는 30%안을 역제안했다.
사측은 이번주 청산절차에 들어갈지 아니면 재매각을 통한 구조조정에 들어갈 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었다.
앞서 푸르밀 사측은 10월 17일 "매출감소와 누적된 적자로 인해 11월 30일 모든 사업을 종료한다"며 전 직원에 이메일로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이에 반발한 노조는 푸르밀의 일방적인 사업종료를 반대한는 집회를 열었으며 경영진과의 교섭도 이날까지 네 차례에 결쳐 진행했다.
푸르밀에 우유 원유를 납품하는 전북 임실 낙농가들도 폐업 예고에 반발하며 사업계속을 요구했다.
관련기사
- 푸르밀, 다시 폐업에 무게...재매각 조건 '구조조정 규모' 노사 이견
- 임실군의회 "푸르밀 정상화 촉구...낙농가 24곳 생계 달려"
- 푸르밀 재매각 협상 중..노조 "사측, 구조조정 조건으로 언급"
- 푸르밀 경영진, 노조 협의없이 희망퇴직..."위로금, 2개월치 통상임금+상여금"
- 푸르밀 노조 "정리해고 즉각 철회·매각 절차 진행" 촉구 집회
- '집단해고 날벼락' 푸르밀 직원들 반발...26일 낙농가와 연합 집회
- '폐업' 난리친 푸르밀, "인력 30% 줄이고 사업 유지"
- 신동환 푸르밀 대표 "시유사업 중단, OEM 적극 유치"...'비전선언문'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