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바이오매스·전지소재·AI 공동 연구

[포쓰저널] LG화학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차세대 신성장 동력 육성을 위한 미래 원천기술 공동 연구개발에 나선다.
탄소중립, 바이오매스 등 지속가능성 관련 분야와 전지소재 및 인공지능(AI) 분야 공동연구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9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 CO₂를 탄화수소 등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촉매 기술 ▲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 배터리 용량 증가를 위한 양극 활물질 개발 ▲ 가공·분석 자동화와 실험 설계 최적화 등 자율주행 실험실 구축 등의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UNIST는 첨단 신소재, 바이오, 차세대 에너지 등을 중점연구분야로 하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사업인 인공지능대학원, 전세계 대학 중 최대 규모의 이차전지 연구센터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22년부터 수소, 태양전지, 탄소포집 및 활용(CCU) 등 탄소중립을 실현할 ‘탄소중립융합원’을 개원한다.
LG화학은 2025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해 친환경 소재, 전지 소재, 바이오 등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LG화학 CTO 유지영 부사장은 "LG화학은 ESG 기반의 신성장 동력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차세대 에너지와 첨단 신소재 관련 연구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고, 2022년 개원하는 탄소중립융합원을 통해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 UNIST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UNIST 이용훈 총장은 "탄소중립 등 우리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협력은 친환경 미래 기술의 확보와 상용화를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