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6일 업비트 임직원을 사칭해 접근하는 거래 지원 사기 범죄가 확산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임직원 등을 사칭해 자금을 편취하는 사기 범죄가 잇따르자 금융감독원은 3월 소비자 경보 ‘주의’를 발령한 바 있다.
이번 업비트 공지 또한 투명하고 건전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한 투자자 보호 조치의 일환이다.
업비트는 공지를 통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거래지원 접수를 받고 있으며 텔레그램·링크드인·이메일·브로커 등 비공식 채널을 통한 접수는 일절 진행하지 않는다”며 “업비트는 어떠한 경우에도 거래지원에 대한 금전적 대가를 요구하지 않고 외부 기관을 통해 거래지원이나 중개를 진행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업비트가 확인한 사례는 ▲업비트를 사칭한 이메일이나 SNS(텔레그램 등)를 통해 거래지원 제안서를 발송하고 외부 링크나 비공식 양식을 통해 정보 제출과 수수료 송금을 유도하는 경우 ▲업비트 내부 직원과 연결된 브로커라고 속이며 거래지원 대행을 명목으로 수수료나 토큰 등을 요구하는 경우다.
업비트는 자체 제보 채널을 통해 확인된 사기 건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사기 범죄로 의심되는 경우, PC 웹에서는 업비트 고객센터 내 ‘정책 및 거래지원 문의’ 메뉴의 ‘거래지원 관련 사기 제보’ 또는 ‘1:1 문의하기’ 내 ‘업비트 직원 사칭 제보’에서 신고할 수 있다.
모바일 앱 고객 센터를 통한 제보도 가능하며 경찰 민원 포털, 금융감독원, 사이버범죄 신고 포털 등에서도 신고 가능하다.
업비트 관계자는 “가상자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거래지원 절차를 악용한 사칭 사기 범죄도 늘고 있다”며 “업비트는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두고 투자자 안전을 위협하는 불법 행위 근절에 앞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고객의무확인 위반' 두나무 과태료 352억원 제재
- 업비트 '업클래스' 진행.. NH투자증권 PB 대상
- [경주 APEC] 업비트 오경석 “디지털자산은 기술·금융·시장·사람 잇는 다리”
- [경주 APEC] 두나무 오경석 "블록체인 혁명은 한국이 새 금융 질서 이끌 기회"
- 업비트, '경주 APEC CEO 서밋' 공식파트너사 참여
- 두나무 '업클래스 주니어' 3년간 2.7만명 참여
- [국감] 두나무 오경석 "메디스테프 투자, 미흡한 결정이었다"
- 李정부 첫 국감, 기업인 200명 역대급 줄소환..은행장들은 열외
- 업비트 대학생 팀 서포터즈 '업투' 4기 모집
- 두나무 UDC 2025 콘텐츠 무료 공개..."블록체인으로 미래 금융 선도"
- 업비트, 19일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 'D-CON 2025' 개최
- 업비트 데이터랩 '데이터 기반 투자 지원 강화' 신규 기능
- "업비트 신규 가입하고 '코인모으기' 쓰면 비트코인이 따라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