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업계 국가대표로 글로벌 기조연설
"두나무, 거래소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로 진화할 것"

[포쓰저널=강민혁 기자]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29일 "블록체인과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로 그 성장 잠재력은 실로 막대하다"며 "블록체인 혁명에서는 한국과 두나무가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새로운 금융 질서를 구축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 대표는 이날 경북 경주 경주예술의전당 화랑홀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최고경영자) 서밋' 기조 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28~31일 열리는 APEC CEO 서밋에는 각국 최정상급 기업인들이 참석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맷 가먼 AWS(아마존 웹서비스) CEO, 사이먼 칸 구글 아시아태평양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안토니 쿡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등 글로벌 테크 리더들이 기조 연설자로 이름을 올렸다.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 데이비드 힐 딜로이트 아시아태평양 CEO 등 세계 금융을 주름잡는 경영인들도 함께한다.
오경석 대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핀테크 기업의 리더로서 행사 이틀째인 29일 '통화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The Future of Currency & Global Financial Market)'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맡았다.
오 대표는 먼저 화폐의 역사에 대해 통찰했다.
그는 "돈의 역사는 단순히 형태가 바뀌어온 것이 아니라, 그 가치를 보증하는 주체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에 대한 역사"라며 "법정화폐가 국가 기관이 신뢰를 보증했다면 오늘날 디지털 자산의 시대에는 알고리즘과 네트워크의 합의에 의해 이 신뢰를 보증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돈의 형태가 진화할수록 거래비용은 줄어들고 시장은 확장됐다. 금융은 더욱 성장했다"며 “지금 우리는 법정화폐와 디지털 자산이 공존하며 서로의 강점을 보완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전 세계 디지털 자산 보유자 수는 5억6000만명으로 동남아 전체 인구와 맞먹는 수준으로 상위 21개 디지털 자산 지갑은 12억회 이상 다운로드 됐다.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의 상징이 된 비트코인은 현재 세계 7대 자산으로 자리매김해 대부분의 주식과 원자재 가격을 앞지르고 있는 상황이다.
오 대표는 블록체인과 스테이블코인이 불러올 미래를 제시했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원장을 통해 중앙화된 기관의 개입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 간 거래기록을 공유, 검증해 네트워크 자체가 신뢰를 보증하는 시스템을 탄생시켰다”며 “한 번 기록된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어 개인은 자신이 만들어낸 정보에 대한 진정한 소유권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이유로 블록체인은 흔히 ‘미래의 금융’이라고 불린다”며 "오랫동안 블록체인은 전통 금융 시스템과 단절된 영역에 머물러 있었지만 이 둘을 잇는 가교가 바로 스테이블코인"이라고 말했다.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3000억 달러(430조500억원)에 달한다.
급성장 중인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금융 인프라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퍼질수록 그 매개가 되는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지갑이나 분산형 앱(디앱)도 함께 확산되고 있다.
이런 변화는 결제뿐 아니라 대출·자산관리·자본시장까지 웹3(탈중앙화 블록체인 인터넷) 기반으로 재편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전 세계 13억명의 비은행 인구에게도 금융 접근권을 제공할 수 있어 포용적 금융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오 대표는 "거래소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시장 시가총액의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거래소가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으로 재편되는 세계 금융 시장을 한국과 두나무가 함께 이끌어 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새로운 금융질서를 선도하기 위해 두나무가 준비 중인 4가지 서비스에 대해서 밝혔다.
△금융에 최적화된 블록체인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유통을 지원하는 기와체인(GIWA Chain) △웹2(중앙화 인터넷)와 웹3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지갑 서비스인 기와월렛(GIWA Wallet) △30개국 150개 기관을 연결해 수십억 달러의 거래를 검증하고 있는 글로벌 트래블룰 솔루션 베리파이바스프(VerifyVASP) △기관 투자자를 위한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인 업비트 커스터디가 바로 그것이다.
두나무는 네 서비스를 기반으로 거래소를 넘어 글로벌 금융 인프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오 대표는 "지금은 더 이상 ‘돈을 설계하는 시대’가 아니라, ‘신뢰를 설계하는 시대’"라며 "두나무는 이 여정을 한국에서 시작해 아시아로 확장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무대로 나아가며 ‘통화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APEC CEO 서밋에 참석한 글로벌 리더들에게 "무엇보다도, 이 여정을 전 세계의 파트너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경주 APEC] 글로벌 빅테크 빅샷 집결 'CEO 서밋' 개막..트럼프·젠슨황 등 연설
- [경주 APEC] CEO 서밋 개막..젠슨황·이재용·최태원·정의선·구광모 등 경제 리더 1700명 집결
- [경주 APEC] 업비트 오경석 “디지털자산은 기술·금융·시장·사람 잇는 다리”
- 업비트 '업클래스' 진행.. NH투자증권 PB 대상
- '고객의무확인 위반' 두나무 과태료 352억원 제재
- 업비트 "거래지원 사칭 사기 범죄 확산"..주의 당부
- 업비트, 19일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 'D-CON 2025' 개최
- 업비트 데이터랩 '데이터 기반 투자 지원 강화' 신규 기능
- [현장] 두나무 오경석 "'산업 구조의 전환' 성공 방정식 디지털자산에 적용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