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관 리뉴얼 완성 효과"..강남점 명절 기프트 신장률 29.9%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신세계백화점이 올해 추석을 맞아 역대 최대 규모의 선물세트 판매 실적을 거뒀다.
신세계백화점은 8월 26일부터 시작된 추석 사전예약 판매와 본판매 실적을 분석해본 결과 전년 대비 21.2% 신장하며 역대 최고 매출을 달성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추석 연휴를 2주 남겨놓은 이달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매출이 전년보다 무려 27.7% 늘어나며 장기간 연휴에 따른 특수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올해 추석은 개천절(10월 3일)부터 추석 연휴(10월 5~7일), 이어지는 대체공휴일과 한글날(10월 9일)까지 더해져 최장 10일 가량 황금 연휴가 가능하다.
신세계백화점은 2017년 추석 연휴 10일 이후 8년 만의 최장 연휴로 귀성·귀경 대신 선물로 대체하려는 수요가 크게 확대된 것이 실적을 끌어올린 배경으로 꼽았다.
올해 추석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데에는 강남점 식품관 리뉴얼 완성도 한 몫 했다는 것이 신세계백화점의 설명이다.
8월 말 명절 대목을 앞두고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을 오픈한 강남점은 리뉴얼 효과를 발판 삼아 명절 행사장 면적을 전년 대비 약 두 배 가량 확대했다.
여기에 스위트파크와 하우스오브신세계 등 새롭게 선보인 IP(지식재산권) 콘텐츠를 활용해 단독 기프트 상품을 출시하며 상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자 강남점 명절 기프트 신장률이 29.9%를 기록, 전체 신장률(21.2%)을 크게 웃돌았다.
장르별로는 한우와 과일 세트가 매출을 이끄는 ‘투톱’ 역할을 했다. 고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상품은 20만~30만원대 한우 세트와 10만원 중반대 과일 세트로 나타났다.
한우의 경우 ‘신세계 암소 한우’ 등 자체 브랜드를 활용한 상품이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인기를 끌었다. 갈비, 등심 등 25만원대 상품이 전체 판매 물량의 30%를 차지했다.
과일은 사과·배 8입 구성의 12만~15만원대 세트가 청과 부문 판매 1위를 차지했으며 신세계에서 선보인 신품종 상품도 높은 판매고를 올렸다.
신세계백화점은 작황 부진에도 불구하고 지정 산지 과일 브랜드인 ‘셀렉트팜’과 협업해 물량을 사전에 확보하고 규모를 15~20% 확대한 것이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수산은 여름부터 굴비·전복·갈치 등 주요 품목을 사전에 대량 매입하고 산지 직송 체계를 강화해 가격을 안정화한 것이 주요했다.
와인, 위스키 등 주류 매출도 큰 폭으로 늘었다.
위스키 세트의 경우 야마자키, 히비키와 같은 고연산 재패니스와 스카치 위스키 등 희소성이 높은 제품들은 명절 선물세트 판매 당일 조기 완판되기도 했다.
신세계백화점 식품담당 최원준 상무는 “올해 추석은 8년 만의 최장 연휴 효과와 맞물려 선물세트 판매가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강남점 식품관 리뉴얼이 더해져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며 “원물 가격 상승에도 선제적 매입과 가격 방어, 차별화된 상품 기획이 실적을 견인했다. 앞으로도 고객 수요에 맞춘 가격대별로 차별화된 상품 기획을 통해 명절 선물 시장의 트렌드를 선도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