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신은주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바이오 산업 콘퍼런스 '2025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BPI)'에 참가했다고 18일 밝혔다.
BPI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 분석 등 전 분야에 걸쳐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세계적 권위의 바이오 행사로 매년 미국·유럽·아시아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미국 보스턴에서 진행된다. 전 세계 250여 개 기업이 전시 부스를 마련하고 약 3200명 이상의 글로벌 전문가들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부터 8년 연속으로 BPI에 참여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단독 부스를 마련하고 임상시험수탁(CRO)부터 위탁생산(CMO)까지 아우르는 바이오의약품 전 주기 지원 역량을 홍보했다.
부스에는 월그래픽을 통해 ▲삼성 오가노이드 ▲차별화된 CDO 서비스 경쟁력 ▲항체·약물접합체(ADC), 메신저리보핵산(mRNA) 등 확장된 포트폴리오 등을 적극적으로 알렸다.
16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들이 발표 세션을 통해 CDO 경쟁력을 강조했다. 이태희 항체배양PD팀 상무는 스피킹 세션 연사로 참여해 '신약개발 가속화: 개발 가능성 평가부터 IND 제출까지'를 주제로 고객사의 신약개발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이태희 상무는 ▲초기 단계 개발 가능성 평가 ▲리스크 기반 CMC (화학·제조·품질관리) 계획 수립 ▲병렬 워크플로우 도입 등을 통해 품질 저하 없이 복잡성을 줄이고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후보물질 선별부터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IND) 제출까지의 기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허계연 CMC 서포트팀 팀장은 포스터 발표에서 '분석법 공동 적격성 평가: 개발부서(CDO)와 품질관리(QC)간 cGMP 생산을 위한 기술이전의 효율성 강화 및 개발 일정 가속화 전략'를 주제로 발표했다.
'분석법 공동 적격성 평가'란 임상물질의 품질 분석법을 개발하는 CDO 부서와 이를 검증하는 QC 부서가 함께 적격성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기존 각 부서별로 분리되었던 분석법 개발과 평가 절차를 통합해 개발 단계에서 평가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필수적이었던 기술이전 단계를 생략하고 고객사가 의약품 개발 일정을 앞당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술이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가능성을 낮춰 분석법의 완전성도 높일 수 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작년 신규 CDO 슬로건 '신속하게, 유연하게, 고객을 중심으로'를 선보이며 고객맞춤형 CDO 경쟁력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발전하는 바이오의약품 시장 대응을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 끝나지 않은 '삼바 분식회계' 논란..투자자 352명 손배소 6년 만에 재개
- 삼성에피스홀딩스 신설 자회사, ADC·펩타이드 플랫폼 개발 추진
- 삼성바이오로직스, 美 제약사와 1.8조 규모 의약품 위탁생산 계약
- 李 "K-바이오 인증절차 속도"..정부 "2030년 수출 2배·신약 3개 창출"
- 'KoAct 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 ETF 순자산 2천억원 돌파
- 타이레놀, 트럼프發 파장.."임신 중 자폐 위험"
- 롯데바이오로직스, 美 CDMO 시장 공략 본격..바이오텍과 LOI 체결
- 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개발 기간 20% 단축, 위탁연구개발생산 본격"
- 삼성바이오 인적분할안 주총 통과…'삼성에피스홀딩스' 내달 재상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