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첫 공식 행보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25년 9월 1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8개 금융지주회사 회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박소연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2025년 9월 1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8개 금융지주회사 회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박소연 기자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5일 8개 금융지주 회장들과 만나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그리고 신뢰 금융으로의 3가지 대전환을 당부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8개 금융지주회사 회장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 위원장의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이다. 

간담회에는 양종희 KB금융지주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회장,  이찬우 농협금융지주회장, 황병우 iM금융지주회장, 빈대인 BNK 금융지주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은 부동산과 담보대출에 쏠려있던 안전 위주의 손쉬운 영업에서 탈피해 첨단산업, 벤처·혁신기업, 지역경제, 재생에너지 등 생산성이 높은 새로운 영역으로 자금을 공급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바꿔 가고 이를 바탕으로 실물경제와 동반 성장해야 한다"고 했다. 

소비자 중심 금융으로의 대전환과 관련해서는 "자율적·선제적인 채무조정과 서민금융상품의 공급 등 금융산업이 앞장서서 취약계층의 재기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다시 금융 소비자 저변을 넓히는 포용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가계부채의 철저한 관리와 함께 실수요 아닌 대출을 차단하기 위한 6.27 대책과 9.7 추가관리 방안의 일관된 이행을 위해 힘써달라"고 했다.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위원장은 "현행 통합형 감독체계에서 벗어나 정책과 감독이 분리되고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를 전담 감독기관이 맡는 새로운 체계로 개편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감독체계 개편이 과거 회귀가 아니라 정책은 보다 정책답게 감독은 보다 감독답게 기능하고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의 상충을 해소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지주 회장들은 우리 경제의 성장엔진이 될 첨단전략산업과 관련 생태계를 지원하기 위해 국민성장펀드에 적극 동참하는 등 자금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