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은행장 간담회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025년 8월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박소연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025년 8월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박소연 기자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은행장들과 만나 "금융 감독·검사의 모든 업무 추진에서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20개 국내은행 은행장과 간담회를 열고 은행권의 현안과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통해 은행의 신뢰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더 이상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등과 같은 대규모 소비자 권익침해 사례는 없어야 하는 것"이라며 "책무구조도 운영, 고난도 투자상품 판매 관행 개선 등을 통해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사고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 강화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은행에서 개인정보 유출, 직원들의 횡령 등 있어서는 안될 금융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은 자물쇠가 깨진 금고와 다를 바 없다"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내부통제 제고 방안 등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을 해달라"고 했다.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금공급을 확대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은행은 리스크가 가장 낮은 담보와 보증상품 위주로 소위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사회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또 "지금이라도 AI 등 미래 산업의 성장 토대가 되는 생산적 부분으로 자금을 흘려보낼 수 있느냐가 곧 미래의 방향을 결정짓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며 "건전성 규제 개선 등을 통해 확보한 여유 자본이 생산적 금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했다. 

이 원장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을 더욱 활성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가계부채 쏠림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금감원은 원칙은 엄정하게 지키되, 시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은행권의 혁신과 노력을 지원하는 동반자적 감독기관이 될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은행장들은 ‘은행 건전성 규제 개선 태스크포스(TF)’에서 논의 중인 자본 규제 완화, 정책자금 활성화 등 감독 차원의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상생금융 실천 우수 금융회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와 채무조정 활성화를 위해 절차 간소화 필요 등을 건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