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비거마린그룹과 미 해군지원함 MRO 협약
삼성물산, 페르미아메리카와 'AI 캠퍼스' 건설 MOU
삼성전자, 반도체 대미 투자 확대책은 미공개

[포쓰저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경제사절단으로 미국을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조선과 원자력발전 등 분야에서 삼성그룹과 미측과의 협력 강화에 가시적 성과를 냈다.
관심을 모았던 반도체 분야 대미(對美) 투자 확대 계획은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26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미국 비거 마린 그룹과 ‘미국 해군 지원함 유지·보수·정비(MRO)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삼성중공업은 미 해군 및 해상수송사령부의 MRO 사업에 본격 참여하고, 공동 건조 등 협력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방산 특수선 건조 경험이 없는 삼성중공업이 해군 MRO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 것이다.
이번 협약에는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이 이 회장과 함께 미국을 방문해 최종 조율했다.
삼성물산도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함께 페르미 아메리카와 ‘AI(인공지능) 캠퍼스 프로젝트’ 건설 관련 협력 MOU를 맺었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 릭 페리가 공동 설립한 회사로, 텍사스주 아마릴로에 원전 4기, 소형모듈원자로(SMR) 2기, 가스복합화력 및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결합한 대규모 전력 인프라와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회장은 이번 방미 일정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도 만났다.
25일(현지시간)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두 사람은 포옹하며 교류를 이어갔다.
양측은 메모리 반도체, 파운드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온 만큼 향후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주요 공급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과의 경쟁을 넘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업계에서는 당초 삼성전자가 테슬라와의 23조원 규모 파운드리 계약, 애플 아이폰용 이미지센서 공급 계약 등을 계기로 추가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텍사스 테일러에 건설 중인 파운드리 공장의 추가 투자 여부가 주목됐으나,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 계획은 공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100% 관세를 예고하면서도 미국 내 생산 시 면제를 약속하고, 최근 인텔 지분 10%를 확보하는 등 강경한 정책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기존 양국 관세 협상 결과 재확인 외에 반도체 관세나 기업 지분 인수 문제와 관련한 구체적 논의는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미국 정부와 협력을 이어가며 현지 투자 확대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삼성이 조선·원전 분야에서 성과를 낸 만큼 반도체 부문에서도 향후 협력 방안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