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감전 사고' 대규모 수사팀 편성
미얀마 피해 노동자 사흘째 의식불명
관련부처 '면허취소-입찰 금지' 등 검토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2025년 7월31일 인천 송도 포스코이앤씨 본사에서 포스코에서 빈발하고 있는 산재 사망 사고와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유튜브갈무리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2025년 7월31일 인천 송도 포스코이앤씨 본사에서 포스코에서 빈발하고 있는 산재 사망 사고와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유튜브갈무리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포스코이앤씨가 시공하는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감전 추정 사고로 미얀마인 노동자가 의식 불명에 빠진 가운데 경찰이 전담팀을 편성해 본격 수사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면허취소, 입찰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 보고하라고 지시했고 관련 부처에서는 이에 대한 본격 검토에 들어갔다.

6일 경찰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은 광명~서울고속도로 공사장 사고 수사를 위해 한원횡 총경을 팀장으로 하는 18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꾸렸다.

이 전담팀은 형사기동대 형사기동5팀 수사관들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기존 광명경찰서가 맡고 있던 이 사고의 수사는 전담팀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4일 오후 1시 34분경 광명시 옥길동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지하 물웅덩이에 설치된 양수기 펌프를 점검하려던 30대 미얀마인 노동자가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에 빠졌다.

그는 호흡은 돌아왔으나 사흘째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경찰은 미얀마 대사관을 통해 본국에 있는 ㄱ씨의 가족에게 사고 발생과 몸 상태 등을 알렸다.

ㄱ씨의 가족은 군부 쿠데타 이후 오랜 내전으로 극심한 혼란에 빠진 미얀마 국내 상황으로 인해 당장 한국으로 출국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경찰은 ㄱ씨의 미얀마인 동료를 모두 불러 참고인 조사를 할 예정이다.

사고 현장에는 ㄱ씨를 포함해 미얀마 국적 근로자가 총 11명 있었으며, 대부분 비슷한 업무를 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들을 상대로 ㄱ씨가 평소 어떤 일을 했는지, 장비를 제대로 갖추고 현장에 투입됐는지, 안전 교육을 어떻게 받았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경찰은 ㄱ씨가 쓰러진 것을 발견한 관리자급의 한국인 근로자로부터 사고 전후 상황에 대해 진술받았다.

경찰은 이날 미얀마인 근로자 조사를 시작으로 수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경찰은 미얀마인 동료들을 현장 관계자로써 수사에 매우 중요한 참고인들로 파악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국토교통부,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등의 정부 부처는 건설 면허 취소(등록 말소)와 공공입찰 금지에 대한 내부 검토에 들어갔다.

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에 대한 수사에 나섰다.

건설사에 대한 등록 말소권자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장이다. 국토부, 노동부 등은 사고의 중대성을 고려해 등록 말소를 지자체에 요청할 수 있다.

건설 면허 취소는 현행 건설산업기본법상 최고 수위의 징계다. 지금까지 건설업 면허가 취소된 사례는 1994년 성수대교 붕괴의 책임이 있었던 동아건설산업이 유일하다.

공공분야 입찰의 경우 현재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시에만 제한되지만, 조달청은 공공분야 입찰 자격 제한 요건에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항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계약법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해 근로자에게 중대한 위해를 가한 업체에 1개월 이상,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입찰 참가 자격을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전날 물러난 정희민 사장의 사표를 즉각 수리하고 포스코홀딩스 안전특별진단TF팀장인 송치영 부사장을 사장으로 임명했다.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현장에서는 올해 들어서 총 4건의 사망와 1건의 중상 사고가 발생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