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
이사회가 회사 핵심 아젠다 논의..경영진 감시 역할

이미지=풀무원
이미지=풀무원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풀무원은 글로벌 수준의 독립성과 실효성을 겸비한 이사회 운영으로 ‘이사회 중심 경영’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풀무원은 2018년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한 이래 사외이사 비중 확대, 사외이사 중심의 독립적 회의 운영, 이사회 전담 조직인 이사회사무국 신설 등을 진행했다.

이사회가 기업 운영과 경영진 감시의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는 선진 지배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왔다는 것이 풀무원의 설명이다.

풀무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자산 5000억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중 선임사외이사를 도입한 기업은 8%, 정례적 사외이사회의를 운영하는 곳은 18%에 불과하다.

금융회사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이 아닌 경우, 사외이사를 대표하는 선임사외이사를 별도로 선임해야 한다.

풀무원은 법적으로 선임사외이사 선임 의무가 없는 비금융권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2018년 식품업계 최초로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자율적으로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 3회 이상 사외이사 단독 회의를 정례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사외이사 단독 회의에서 논의된 주제는 이사회 의장에게 전달되어 이사회 및 위원회 안건으로 반영되고 있다.

또한 풀무원은 이사회의 70% 이상을 사외이사로 구성해 독립성과 객관성을 제고하고 있다. 특히 성별 다양성을 위해 3인을 여성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지난해에는 이사회사무국을 신설해 8명의 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회 전반의 활동을 전담 지원하는 체계도 갖췄다.

풀무원 이사회는 의장이 이사회 운영을 총괄하며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이사회의 논의를 주도하고 선임사외이사가 사외이사 단독회의의 주재 및 사외이사들의 회사 경영 참여와 경영진 감독 및 견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도록 자체 규정을 통해 명시하고 있다.

실제로 풀무원 이사회는 2019년 지배구조 보고 및 총괄CEO 보상체계 개편, 2021년 글로벌 식물성 식품 트렌드를 반영한 ‘식물성 지향(Plant-Forward) 전략’ 수립, 2022년 기업 新 가치체계 정립과 ‘풀무원지구식단’ 브랜드 론칭에 주도적으로 관여했다.

2023년에는 이사회 규정에 이사의 의무 조항을 신설해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시했으며 이사회사무국 설치 및 운영을 검토하여 지배구조 고도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해에는 이사회 내 총괄CEO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신임 총괄CEO를 선임하고 제2기 전문경영인 체제를 공식 출범시켰다.

같은 해에 이사회 규정 개정을 통해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하는 이사회(8개 위원회 포함)의 역할과 권한을 명시하고 이사회 및 위원회가 경영의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근거를 명확히 했다.

또한 사외이사로만 구성된 보상위원회에서 총괄CEO 성과 평가, 목표 수립, 보상안 등을 심의·결의했다.

김영환 선임사외이사는 “풀무원은 사외이사를 외부 감시자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전략적 의사결정의 중심에 세우고 있다”며 “글로벌 선진 거버넌스 수준의 이사회 구성과 운영뿐만 아니라, 실효성 측면에서 국내 이사회 중심경영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풀무원 이사회사무국 도경업 국장은 “이사회 중심의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중장기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반”이라며 “앞으로도 투명하고 책임 있는 지배구조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기업가치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