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콩 품종개발과 소비 활성화 위한 품질 가공적성 평가 협력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풀무원은 풀무원기술원이 24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과 ‘국산 콩 소비 확대를 위한 품종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품질 가공적성 평가 협력 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산 콩의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고품질 가공제품 개발을 위한 산업화 연구를 강화함으로써 국산 콩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
풀무원기술원과 국립식량과학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콩 산업화 확대를 위한 품종(우량계통) 품질·가공적성 평가 협력 △국산 콩 안정생산기반 확보 및 가공산업 활성화를 위한 공동 협력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립식량과학원은 국산 콩 품종과 우수 유전자원을 제공하고, 가공 원료곡 생산단지(콩 생산 지역) 기술 지원, 신품종 정보 제공 및 우수성 홍보를 담당하게 된다.
풀무원은 신품종의 가공적성(콩 가공제품 특성 분석) 및 상품성 평가, 국산 원료 기반의 고품질 제품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풀무원에 따르면 최근 논 타작물 재배 확대 정책에 따라 국내 콩 재배면적은 2021년 5만 4000 헥타르(ha)에서 2024년 7만 4000 헥타르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콩 자급률도 23.7%에서 38.6%로 향상됐다. 하지만 국내 1인당 연간 콩 소비량은 7.3㎏ 수준에 그쳤다. 소비 촉진과 수요 기반 확대를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풀무원기술원과 국립식량과학원은 그동안 두부 및 콩나물의 원료 안정 수급과 신품종 제품화 등 국산 콩 품질 향상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지속해 왔다.
기후변화와 농업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나물용 신품종 ‘아람’의 제주도 시범단지 운영과 농가 대상 교육을 실시해 생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 바 있다.
풀무원은 ‘아람’ 품종의 콩나물 최적 재배 공정을 개발해 2024년 농림식품과학기술대상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김태석 풀무원기술원 원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립식량과학원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며, 농업과 식품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국산 콩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을 지속해서 선보이며 기능성 품종을 활용한 소비자 맞춤형 제품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