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미디어텍·노타와 온디바이스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기술 공동개발

SK텔레콤은 글로벌 모바일 AP 제조사 미디어텍, AI 경량화 전문 스타트업 노타와 협력해 온디바이스 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과 관련된 초기 단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글로벌 모바일 AP 제조사 미디어텍, AI 경량화 전문 스타트업 노타와 협력해 온디바이스 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과 관련된 초기 단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사진=SK텔레콤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인공지능(AI) 시대에 증가하는 스마트폰 소비 전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SK텔레콤이 기술 고도화에 나섰다.

15일 SK텔레콤에 따르면 글로벌 모바일 AP 제조사 미디어텍, AI 경량화 전문 스타트업 노타와 함께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과 관련된 초기 단계 기술 개발이 성공했다.

3사가 개발한 기술은 단말이 이동통신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송·수신 완료 이후에도 일정 시간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됐다.

해당 기술은 SKT가 최근 통화 이외 상시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이뤄지는 이용 행태를 고려, 연결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절감이 필요하다는 데 착안돼 개발됐다.

단말 자체적으로 일정 시간의 트래픽 발생 여부를 예측해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연결 상태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지난 수년간 연구해 온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사용자 데이터 발생의 원천이 되는 스마트폰이 서버단보다 트래픽 예측에 적합하다고 보고, 온디바이스 AI 형태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스타트업(노타)및 글로벌 모바일 AP 제조사(미디어텍)와의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SKT와 노타, 미디어텍은 단말 전력 효율화에 적합한 AI 모델을 선정한 이후 스마트폰에서 저지연·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양자화, 가지치기 등의 기법을 활용해 AI 모델 경량화에 집중했다.

양자화는 신경망을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데이터 타입을 단순화 한 것이고 가지치기는 신경망을 구성하는 레이어·노드 중에서 성능 기여도가 낮은 것을 축소·삭제하는 것이다.

SKT는 경량화 된 AI 모델을 실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모뎀에 구현, 실시간 동작을 확인했다. 또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발생 예측 정확도를 확보해 스마트폰 소비전력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도 검증했다.

SKT 측은 “이번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온디바이스 AI에 대한 통신 영역의 선제적 연구개발 사례”라며 “제조사가 하드웨어 측면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용량 증가 및 부품 저전력화 노력 등과 병행할 경우 배터리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SKT는 이달 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4에서 구체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향후 관련 AI 모델 고도화 및 네트워크 연동 시험을 통해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SKT는 이번 연구 외에도 5G 진화 및 6G를 대비해 AI를 활용한 통신 인프라의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코어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페이징 기술과 무선망을 대상으로 한 무선망 적응 기술, 가상화 기지국 소비전력 절감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온디바이스 AI 기반 통신 기술의 진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고객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이동통신 각 영역에 AI를 적용해 나가는 연구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