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신라면(봉지면) 4.5%↓새우깡 6.9%↓
삼양식품 삼양라면 등 12개 제품 평균 4.7% ↓
오뚜기도 7월 1일부로 가격인하 조율중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라면 업계가 정부의 압박에 밀려 결국 일부 제품 가격을 내리기로 했다.
27일 농심과 삼양식품은 7월 1일부로 대표 제품인 신라면(봉지면)과 삼양라면의 가격을 각각 4.5%, 4% 인하한다고 밝혔다.
오뚜기도 7월부터 라면 가격을 인하할 계획으로 구체적인 인하율을 조정중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 18일 라면 가격 인하 필요성을 언급하고 농림축산식품부가 26일 국내 제분 업체들을 소집한 이후 나온 반응이다.
농심은 신라면과 아울러 새우깡 가격도 6.9% 인하한다고 밝혔다.
농심이 대표 제품인 신라면 가격을 내린 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새우깡 가격 인하는 이번이 처음이다.
삼양식품은 삼양라면과 함께 짜짜로니, 맛있는라면, 열무비빔면 등 12개 대표 제품 가격을 평균 4.7% 인하한다.
농심은 이번 가격 인하로 소매점 기준 1000원에 판매되는 신라면 한 봉지의 가격은 50원, 1500원인 새우깡은 100원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농심은 국내 제분회사로부터 공급받는 소맥분의 가격이 7월부터 5% 인하돼 비용절감액이 연간 약 8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가격 인하로 연간 200억원 이상의 혜택이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으로 추산했다.
신라면, 새우깡 외 제품에 대해서는 "원재료, 인건비 등의 부담으로 가격 인하가 어려웠다"고 했다.
농심은 이번 가격 인하 결정을 통해 지속적인 원가 부담 상황 속에서도 소맥분 가격 인하로 얻게 될 이익증가분 그 이상을 소비자에게 환원한다는 방침이다.
농심은 “가격 인하 대상인 신라면과 새우깡은 국내에서 연간 36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국민라면과 국민스낵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며 “이번 가격 인하로 경영에 부담은 있지만 국민생활과 밀접한 제품을 대상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3600억원은 농심의 작년 매출 3조1291억원의 11.5%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삼양라면은 이번 가격 인하로 5입 멀티 제품 할인점 판매가 기준 3840원에서 3680원으로 4% 내린다.
짜짜로니는 4입 멀티 제품 기준 3600원에서 3430원으로 5%, 열무비빔면은 4입 멀티 제품 기준 3400원에서 2880원으로 15% 각각 가격이 인하된다.
정부는 그동안 국제 밀 가격 하락을 근거로 라면 가격의 인하 필요성을 압박해 왔다.
추경호 부총리는 1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현재 국제 밀 가격이 50% 안팎 떨어졌다. 기업들도 이에 맞춰 적정하게 라면 가격을 내렸으면 좋겠다"며 "이 문제는 소비자 단체가 압력을 행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26일에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서울 에이티(aT)센터에서 CJ제일제당, 대한제분 등 제분업계 7개사 등을 불러 간담회를 갖고 밀 수입가격 하락을을 밀가루 가격에 적극 감안해 줄 것을 요청했다.
농림부에 따르면 국제 밀 선물가격은 지난해 5월 톤(t)당 419달러에서 올해 5월 243달러로 1년 사이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제분 업계는 밀 선물가격 하락과 물가안정을 위해 7월 밀가루 출하가격 인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삼양식품, 삼양라면 등 12개 대표 품목 평균 4.7% 인하
- 한국투자증권, 밸류맵과 토큰증권 서비스 개발 협약
- 추경호 압박 열흘만에 농심 '백기'.."신라면·새우깡 가격 인하"
- LH, 대학생 대상 '국토개발기술대전' 공모전
- 오뚜기, '스낵면' 등 라면류 15개 제품 평균 5% 인하
- 팔도, 라면 가격 11개 품목 평균 5.1% 인하
- SPC, 식빵·크림빵·바게트 등 30종 가격 평균 5% 인하
- 대한제분, 밀가루 주요 제품 평균 6.4% 인하
- 농림부, 사료업체도 소집해 가격 인하 요청
- K-라면, 상반기도 날았다...빅3 영업익·매출 "역대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