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플랫폼 통해 제조사 간 장비 연동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LG유플러스는 글로벌 IT 기업 델 테크놀로지스와 오픈랜(O-RAN) 플랫폼 분야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양사는 23일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으로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과 데니스호프만 델 수석 부사장이 참여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협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3에서 실무진 회의를 갖고 본격적인 논의에 나선다.
’오픈랜(개방형 무선 접속망)’은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간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하는 표준기술이다.
양사는 누구나 쉽게 오픈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랜 플랫폼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오픈랜을 통해 기지국을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으로 구축하면 여러 업체의 앱을 구동할 수 있다.
오픈랜 플랫폼 기술이 상용화되면 기지국 소프트웨어도 개별 기지국에 원하는 기능만을 선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협업을 위해 LG유플러스는 마곡 LG사이언스파크 내 연구실에 오픈랜 시험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델이 보유한 오픈랜 플랫폼 기술인 ‘델 텔레콤 인프라스트럭처 블록’을 활용해 실제 통신 환경에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델은 미국 현지에 구축한 OTEL(Open Telecom Ecosystem Lab)에서 오픈랜 관련 미래기술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LG유플러스와 델은 오픈 플랫폼 기술 개발을 넘어 오픈랜 관련 주요 기술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새로운 기술 발굴도 협업할 방침이다.
권준혁 LG유플러스 권준혁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델의 최신 플랫폼 기술을 5G O-RAN 공용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써 안정성,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O-RAN을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최적의 품질과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플랫폼 기술 선도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데니스 호프만 델 테크놀로지스에서 텔레콤 시스템 비즈니스 총괄 수석 부사장은 “델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해 LG유플러스가 오픈랜 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