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기술 요구사항 및 5G 전력 저감 기술 수록
5G 에볼루션 및 6G 공동 연구..기술표준 정립 추진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SK텔레콤은 일본 통신사 NTT도코모와 함께 6G 공통 요구사항 및 5G 기지국 전력절감을 위한 기술 백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술 백서는 6G 기술과 5G 전력절감 기술에 필요한 공통 요구사항에 대해 다뤘다.
6G 공통 요구사항에는 △6G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신규 상품·서비스 발굴 △6G 오픈랜 표준 및 장비 에코시스템(Ecosystem) 활성화 △5G 등 기존망의 효율적 활용 위한 6G 구조 설계 표준화 △고주파 대역 특성에 맞는 장비·단말·배터리 개발 △효율적 주파수 활용을 위한 용도 정의 등이 담겼다.
양사는 백서를 통해 ITU(국제 전기 통신 연합),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등 표준화 단체의 6G 국제 표준 마련 등에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했다.
5G 전력절감 기술 백서에는 △양사의 기지국 소모전력 측정을 통한 최적 전력절감 기술 발굴 △전력절감 기술 분석 및 고도화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한 전력효율 개선 프로세스 정의 등이 담겼다.
SKT와 NTT도코모 지난해 11월 통신 인프라·미디어·메타버스 등 3대 분야에서 혁렵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백서는 협력의 첫 구체적인 결과물이다.
양사는 향후 5G보다 진보된 5G 에볼루션(Evolution)과 6G의 주요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하고, 기술 표준을 함께 정립해 나갈 계획이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이번 백서는 지난해 NTT도코모와의 전략적 파트너쉽 체결 이후 첫 가시적 결과물로 더욱 의미가 크다”며 “SKT는 세계 최초로 상용화 한 5G 기술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5G 고도화는 물론 6G 시대로의 진화를 선도하겠다”고 했다.
타케히로 나카무라 NTT도코모 최고 기술 설계자(CTA)는 “2022년 11월부터 시작된 SKT와의 협력 성과로 6G 요구사항과 기지국 전력절감에 관한 백서를 공동 발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6G 진화를 위해 아시아의 두 주요 이동통신사 간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SKT, 공항공사·한화시스템과 한국형 UAM 실증사업 참여
- SKT, 로봇 부착 'AI로봇키트' 출시..."비용 5분의 1로 절감"
- SKT, 서초구 교통영향평가에 AI기반 위치 분석 플랫폼 적용
- SKT, 'T우주 선물하기' 출시...'우주패스’ 및 정기배송 상품 선물
- [MWC 2023] SKT, '에이닷' 등 AI 혁신기술 서비스 시연
- [MWC 2023] SKT 유영상 "'지식 대화' 에이닷 글로벌 진출 적극 추진"
- SKT, ICT 패밀리사 헌혈 릴레이.."국내 혈액 수급난 극복"
- SKT, T팩토리서 필름 카메라 감성 전시회
- SKT, O-RAN 얼라이언스서 6G 방향성 제시.."글로벌 표준화 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