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조사..업체들 "배달료 없다" 광고
실제론 매장가에 가격 올려서 배달요금 책정
4개 배달 기준 제품가 4000~4800원씩 더 받아
무료배달 최소주문도 매장가 보다 1200~3100원 비싸
[포쓰저널] 코로나19 사태로 음식 배달서비스 이용이 증가한 가운데 일부 햄버거 프랜차이즈의 경우 동일 제품임에도 배달 시 제품가격이 매장가격보다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체는 배달주문과 매장구입의 제품가격이 다르다는 사실 등이 주문·결제 과정에서 명확하게 고지되지 않아 소비자의 알권리 및 선택권 침해가 우려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주요 5개 햄버거 프랜차이즈의 제품가격을 조사한 결과, 맘스터치를 제외한 4개 업체(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KFC)의 모든 제품이 배달주문과 매장구입 간 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4개 업체 모두 배달주문 시 매장가격에 비해 햄버거 세트는 1000~1200원, 햄버거 단품은 700~ 900원, 사이드 메뉴는 600 ~ 700원, 음료는 500 ~ 700원까지 비싼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4개 업체는 일정금액 이상 배달주문 시 별도의 배달료가 청구되지 않는 대신 배달제품 가격에 배달료 등 배달서비스로 인한 제반비용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이들 업체의 이러한 배달제품 가격 차별화 정책은 시중 배달료를 고려하면 소비자에게 일부 유리한 경우도 있지만, 배달제품을 여러 개 주문할수록 매장구입 때보다 더 많은 금액을 부담하게 된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4개 업체에서 무료배달이 가능한 최소주문금액에 맞춰 햄버거 세트와 사이드 메뉴를 구입해본 결과 배달 시 제품가격이 매장구입 시보다 최소 1200원에서 최대 3100원까지 비쌌다.
4인 가구를 기준으로 각 업체에서 특정 햄버거 세트를 4개씩 주문하는 경우 배달 시 제품가격이 매장구입 시보다 최소 4000원에서 최대 4800원까지 비싸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4개 업체가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을 모니터링한 결과, 주문 및 결제 과정에서 배달주문과 매장구입 간 제품가격이 다르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는 2곳에 불과했다"며 "주요 3개 배달 플랫폼에서도 4개 업체 모두 해당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배달 플랫폼의 경우 배달료 관련 정보가 전혀 표시되지 않거나 배달료가 ‘0원’ 또는 ‘무료’로 표시되고 있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주문 및 결제 과정에서 주요 거래조건을 명확하게 알리도록 권고했다. 아울러 주요 배달 플랫폼 사업자에게는 ▲매장가격과 배달가격이 다르다는 사실 등을 배달 플랫폼 내에 쉽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이번조사는 3월 8일 ~ 4월 23일 서울시 송파구 일대 각 사업자별 매장 5개씩 총 25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내용은 매장구입과 배달주문 시 제품가격 비교, 거래조건을 고려한 가격 산정 실태, 매장구입과 배달주문 간 제품가격 차이, 최소주문금액 및 배달료 등 고지 현황 등이었다.
관련기사
- 맥딜리버리 고객 정보 해킹...맥도날드 "다음주 침해여부 확인사이트 제공"
- 맥도날드, 레스토랑 매니저 공개 채용..14일까지
- [브리핑] 롯데푸드·CJ프레시웨이·롯데리아·hy·롯데칠성음료·폴 바셋
- [브리핑] 신세계푸드·대상·동원홈푸드·KGC인삼공사·롯데리아·오비맥주
- [신상품] CJ제일제당·오뚜기·오비맥주·동서식품·롯데리아·베스킨라빈스
- 맘스터치·롯데리아 '식품위생법 위반' 최다
- 홈플러스 '양지고기 설렁탕', 가장 짜고 소고기는 가장 적어
- 롯데리아, '배달 수수료' 도입...매장가·배달가 통일
- 정부, 배달비 1만원 잡는다...내달부터 배민·쿠팡이츠 배달요금 공개
- 롯데리아, 또 가격 인상..평균 5.5%↑, 1년4개월만에 세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