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가 4673억원..나일홀딩스 지분 포함
“OK캐쉬백·커머스 시너지 집중”

[포쓰저널] SK스퀘어가 이커머스 플랫폼 11번가를 자회사인 SK플래닛에 매각하기로 했다.
사실상 11번가를 SK그룹 내부에서 재편하는 방식으로, 투자금 회수 문제를 둘러싼 재무적 투자자(FI)들과의 압박 속에서 선택한 정리 수순으로 평가된다.
SK스퀘어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11번가 지분 100%를 SK플래닛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매매대금은 총 4673억 원으로, SK스퀘어가 보유한 지분 가치 3810억 원과 나일홀딩스가 보유한 지분 863억 원이 포함된다.
매각 대금은 연내에 지급될 예정이다.
FI인 나일홀딩스(대표 구성: H&Q코리아 블라인드펀드·국민연금·새마을금고 등)는 2018년 11번가에 5000억 원을 투자했으나, 약정상 5년 내 기업공개(IPO)가 성사되지 못하면서 회수 문제 해결이 숙제로 남아 있었다.
당시 계약에는 IPO가 불발될 경우 SK스퀘어가 FI 지분(18.18%)을 되살 수 있는 콜옵션 조항이 포함돼 있었지만, SK스퀘어는 지난해 콜옵션 행사를 포기했고 11번가 매각 방안을 놓고 협상을 이어왔다.
그러나 최근 이커머스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기업가치 기대가 낮아진 상황에서 외부 매각은 난항을 겪어왔다.
결국 SK스퀘어는 2차 콜옵션 회수 기한을 앞두고 FI와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 Drag-along) 방식을 통해 자회사 SK플래닛을 인수 주체로 확정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5000억 원 투자액 중 국민연금 출자분이 3500억 원으로 가장 컸던 점이 내부 재편 방식 결정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지분 인수 자금은 SK스퀘어의 유상증자 및 SK플래닛 보유 자금으로 마련한다.
이번 거래로 11번가는 SK스퀘어가 아닌 SK플래닛 산하 100% 자회사로 편입된다.
SK스퀘어가 보유하고 있던 스파크플러스(공유오피스), 해긴(게임), 코빗(가상자산거래소) 등 일부 투자 자산도 SK플래닛 체제로 재조정될 예정이다.
SK스퀘어, SK플래닛, 11번가 측은 이번 구조조정에 대해 “세 회사의 미래 성장에 맞춘 최적의 구도”라며 “주주, 투자자, 셀러·고객 등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플래닛은 11번가 기반으로 OK캐쉬백의 적립·사용처를 확장하며 ‘마일리지-커머스 패키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11번가 역시 SK플래닛이 보유한 인공지능(AI)·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AI 기반 맥락형 커머스’로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매각으로 11번가는 외부 매각 불확실성에서 벗어나 그룹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업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SK그룹 내 또 다른 유통 계열사인 SK스토아는 모회사 SK텔레콤이 AI 중심 전략 전환을 이유로 매각 절차를 진행 중이다.
최근 양맹석 SK스토아 대표가 내부 공지를 통해 매각을 공식화했으며, 복수의 인수 후보가 실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