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이영욱 교수팀 "수정된 초신성 분석, 바리온음향진동·우주배경복사 결과와 완벽한 일치"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참여 연구진의 모습이다. (왼쪽부터)정철 연구교수, 이영욱 교수, 손준혁 연구원, 조혜전 연구교수, 박승현 연구원이다. /2025.10.16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참여 연구진의 모습이다. (왼쪽부터)정철 연구교수, 이영욱 교수, 손준혁 연구원, 조혜전 연구교수, 박승현 연구원이다. /2025.10.16 연세대학교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국내 연구진으로부터 우주는 가속팽창하지 않고, 암흑에너지는 우주상수(진공에너지)가 아니라는 기존의 상식을 뒤엎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6일 연세대학교에 따르면 천문우주학과·은하진화연구센터의 이영욱 교수 연구팀이 2011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의 근거가 된 '우주의 가속팽창 및 우주상수 이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핵심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새롭게 수정된 초신성 관측 결과가 다른 우주론 연구 방법인 바리온음향진동 관측 결과와 훨씬 더 정확하게 일치함을 발견했다.

초신성, 바리온음향진동, 우주배경복사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현재 우주는 더 이상 가속팽창하지 않으며 오히려 감속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1998년 이후 천문학계는 우주가 우주상수 형태의 암흑에너지에 의해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Ia형 초신성의 밝기를 이용해 먼 은하들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연구에서 비롯된 결과로, 2011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의 결정적 근거가 됐다.

la형 초신성은 백색 왜성이 격렬하게 폭발해 발생하는 초신성의 한 종류로 천문학에서 거리 측정과 우주 진화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우주가 이미 감속팽창 단계에 진입했으며, 암흑에너지도 우주상수가 아니라 시간에 따라 빠르게 약화되는 특성을 지닌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팀은 오랫동안 우주의 '표준촛불'(standard candle)로 사용돼 온 Ia형 초신성이 폭발을 일으킨 항성의 나이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새로운 증거를 발견했다.

광도 표준화 이후에도 젊은 항성에서 발생한 초신성은 상대적으로 어둡고, 나이 든 항성에서 발생한 초신성은 더 밝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견된 것이다.

연구팀은 약 300개의 초신성 호스트 은하 샘플을 이용해 이 효과를 5.5시그마(99.9999999%)의 높은 통계적 신뢰도로 검증했다.

이는 먼 은하에서 초신성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단순한 우주론적 효과만이 아니라 항성천체물리학적 요인에도 기인함을 의미한다.

적색편이와 초신성 거리지수의 상대적인 차이 값(Hubble Residual_ HR) 관계. /2025.10.16 연세대학교
적색편이와 초신성 거리지수의 상대적인 차이 값(Hubble Residual_ HR) 관계. /2025.10.16 연세대학교

연구팀이 이 효과를 반영해 초신성 데이터를 보정하자, 암흑에너지가 우주상수의 형태로 존재하는 기존의 표준우주모형과 더 이상 일치하지 않았다.

대신 최근 암흑에너지 분광관측장비(DESI) 프로젝트가 제시한 시간에 따라 빠르게 진화하며 약해지는 암흑에너지 모델과 훨씬 더 잘 부합했다.

이 새로운 모델은 바리온음향진동과 우주배경복사 관측을 결합한 분석에서 도출된 것으로, 연구팀의 수정된 초신성 자료 역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암흑에너지 모델의 파라미터 공간 (w₀–wₐ 평면)에서의 확률 분포. /2025.10.16 연세대학교
시간에 따라 변하는 암흑에너지 모델의 파라미터 공간 (w₀–wₐ 평면)에서의 확률 분포. /2025.10.16 연세대학교

나아가 수정된 초신성 데이터를 바리온음향진동 및 우주배경복사 관측과 결합해 분석한 결과, 표준우주모형은 9시그마 이상의 압도적인 통계적 유의성으로 배제됐다.

이는 DESI 프로젝트의 2.8–4시그마 수준보다 훨씬 더 명확한 결과로, 현재 우주가 더 이상 가속팽창하지 않고 이미 감속팽창 단계에 진입했음을 뒷받침한다.

우주의 감속인자(q)의 시간적 변화. /2025.10.16 연세대학교
우주의 감속인자(q)의 시간적 변화. /2025.10.16 연세대학교

이 교수는 "DESI 프로젝트에서는 기존(수정 전) 초신성 데이터를 바리온음향진동 관측과 결합해 분석했고, 그 결과 '미래의 우주는 감속팽창 하겠지만 현재는 여전히 가속 중'이라고 결론내렸으나, 우리는 수정된 초신성 자료를 통해 현재 우주가 이미 감속팽창 단계에 들어섰음을 보였다"며 "이 결과는 바리온음향진동 단독 분석이나 바리온음향진동과 우주배경복사를 합친 분석에서 예측된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보다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체 적색편이 구간에서 동일한 나이를 가진 젊은 은하만을 이용한 '광도진화 없는'(evolution-free) 우주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미 1차 결과는 이번 연구의 결론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번 연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연세대 손준혁 박사과정 연구원과 정철 연구교수는 "앞으로 5년 이내 대형시놉틱관측망원경(LSST) 탐사망원경이 발견할 약 2만개의 새로운 초신성 호스트 은하의 나이 측정이 이뤄지면, 지금보다 훨씬 정밀한 초신성 기반 우주론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 결과가 향후 추가 검증을 통해 확정된다면, 1998년 암흑에너지 발견 이후 27년 만에 우주론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연세대는 기대하고 있다.

이는 암흑에너지의 정체, 허블 텐션, 그리고 우주의 팽창 역사와 운명을 밝히는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세대 이영욱 교수(교신저자), 손준혁 연구원(제1저자), 정철 연구교수(공동 교신저자), 박승현 연구원(공동저자), 조혜전 연구교수(공동저자)가 공동으로 참여했으며, 국제 천문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영국 왕립천문학회지'(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에 16일 게재됐다.

초신성의 모습. /2025.10.16 미 항공우주국
초신성의 모습. /2025.10.16 미 항공우주국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