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 예비일 11월 28일~12월 4일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이번 누리호 3차 발사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1기와 큐브위성 7기 등 본격적으로 실용급 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첫 사례다.사진은 177장 촬영 후 레이어 합성. 2023.5.25
2023년 5월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발사되고 있다. 누리호 3차 발사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1기와 큐브위성 7기 등 본격적으로 실용급 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첫 사례다.사진은 177장 촬영 후 레이어 합성.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누리호 4차 발사가 11월 27일 오전 12시 54분부터 01시 14분 사이에 진행된다.

우주항공청은 26일 제1회 '누리호 4차 발사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이 같이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29일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선적전검토회의 결과를 반영한 결과다.

발사관리위원회의 위원장은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이 맡았다.

기상 등 돌발변수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 예비일은 11월 28일부터 12월 4일까지로 설정했다.

정확한 발사시각은 발사 전날인 11월 26일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우주청은 발사관리위원회가 누리호 최종 조립 일정, 위성 일정, 나로우주센터의 발사대, 레인지시스템, 기상,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가능성과 같은 발사 조건 등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준비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발사 예정일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발사관리위원회가 발사 준비 상황을 점검한 결과, 현재 누리호는 9월 18일에 정상적으로 완료된 WDR(산화제충전배출사전시험) 이후 실제 발사를 위한 화약류 장착과 위성 탑재 등의 준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위원회는 누리호에 탑재될 위성 13기의 진행 상황도 점검했다.

현재 위성의 발사 전 최종 점검으로 선적전검토회의가 완료됐다.

위성들은 내달 말까지 우주센터로 입고될 예정이다.

나로우주센터에서는 발사대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성능확인시험을 2회 실시했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가 새벽시간에 이뤄지는 점을 고려해 야간 운용 훈련도 진행했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에 쓰이는 위성연료인 하이드라진 충전을 위한 충전설비 구축과 시운전 결과도 검토해 이상없이 준비됐음을 확인했다.

누리호의 비행상황을 실시간 추적하는 레인지시스템도 정기 성능점검을 수행하는 등 준비를 하고 있으며, 11월부터는 발사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돼 4차 발사운용에 대비할 계획이다.

발사 준비와 발사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비상상황을 철저히 대비하고 공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25일 1차 발사안전통제 지휘조 훈련을 실시했다.

최종 점검 종합훈련은 10월 말 실시할 계획이다.

종합훈련에는 정부·군·경·지자체 등 11개 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발사 당일과 동일한 조건에서 비상상황 발생을 가정해 실전과 같은 훈련을 실시하고 상황별 조치 결과를 점검하게 된다.

윤 청장은 "누리호 4차 발사는 우주청 개청 이후 첫 발사이자, 체계종합기업이 발사체 구성품 제작, 조립을 총괄 주관하고 발사운용에 공동참여하는 첫 발사로 그 의의가 있다"며 "누리호 3차 발사 이후 약 2년 6개월의 공백이 있었지만 우주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체계종합기업과 관련 산업체 모두가 하나의 팀으로 발사 준비에 최선을 다해 4차 발사 성공을 위해 발사일까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