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 출범식에서 배순민 KT AI Future Lab장 상무(왼쪽에서 여섯 번째)가 참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KT
2025년 10월 2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 출범식에서 배순민 KT AI Future Lab장 상무(왼쪽에서 여섯 번째)가 참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KT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KT는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 출범식과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를 진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이를 통해 국내 AI(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KT는 AI(인공지능) 대전환 시대를 맞아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기술력 확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한 AI 스타트업 LLM(거대언어모델) 챌린지에 수요기업으로 참여했다.

AI 스타트업 LLM 챌린지는 대기업의 LLM 인프라를 AI 스타트업에 개방하고, 협업을 통해 제조·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된 AI 솔루션 개발하는 정부 사업이다.

KT는 AI 사업화를 위한 기술 파트너 발굴을 위해 참여를 결정했으며, 스타트업들에게 자사 LLM 모델 ‘믿:음 K’를 개방했다.

이번 챌린지에는 총 148개 스타트업이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KT는 기술 역량 평가를 통해 최종 6개 기업을 선정했다. 선정된 스타트업들은 AI 보안 및 소상공인 콘텐츠 생성, 건설 현장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을 보유 중이며, KT는 이들과 함께 공공·교육·소상공인 등 핵심 분야에 최적화된 AI 솔루션 개발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KT는 스타트업들에게 개발에 필요한 지원과 함께 솔루션에 대한 기술검증(PoC) 기회도 제공한다. 올해 안으로 기술 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며 이후 스타트업들과 사업화를 위한 협업도 지속할 예정이다.

아울러 KT가 국내 AI 생태계의 전반적인 성장을 위해 개최한 K intelligence 해커톤 2025도 최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행사는 8월 ‘한국적 AI로 상상하고 창조하라’는 부제로 시작됐으며, 1500명의 대학생, 일반인 및 개발자 등이 참가해 약 한 달 반 기간 동안 예선과 본선을 거쳐 다양한 AI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대회는 KT가 자체 개발한 믿:음 K를 활용한 B2B·B2G AI Agent 개발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한 ‘SOTA K’ 기반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됐다.

‘믿:음 2.0’ 활용 분야에서는 ‘직무 교육 개인화 학습 에이전트’를 개발한 팀이, ‘SOTA K’ 활용 분야에서는 ‘역사 인물과의 대화’ 서비스를 선보인 개인 참가자가 각각 대상을 수상했다.

KT는 이번 대회를 통해 한국적 AI 모델이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들도 다수 발굴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업 및 개발자들과 협력해 한국 현실에 맞는 AI 기술 적용과 관련 생태계 확장에 노력할 방침이다.

배순민 KT 기술혁신부문 AI Future Lab장 상무는 “경진대회를 통한 창의적 인재 발굴과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한 실용적 솔루션 개발은 AI의 건전하고 건강한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며 “AI 기술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산업 혁신을 위해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개방형 협력과 기술 공유를 통해 AI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해 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