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LS일렉트릭 노동조합이 올해 임금과 단체협약에 대한 사항을 회사 측에 위임키로 전면 합의했다.
LS일렉트릭은 29일 서울 용산구 소재 LS용산타워에서 2025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을 모두 위임하는 ‘노경상생협약식’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서 LS일렉트릭 노동조합은 2025년도 임금과 단체협약에 관한 모든 사항을 회사에 위임하고, 회사의 목표 달성과 성장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고 다짐했다.
LS그룹은 ‘노동자와 사용자’라는 의미의 ‘노사(勞使)’가 아닌, 상호 존중과 파트너십을 강조하기 위해 ‘노동자와 경영자(경영진)’이라는 의미의 ‘노경(勞經)’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임금과 단체협약 모두 회사에 위임한 것은 LS일렉트릭 창립 이래 최초다. 불필요한 협상 절차를 줄이고, 노동조합이 회사 성장의 동반자로서, 무한경쟁 체제로 접어든 글로벌 사업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차세대 전력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중요한 시기에 우리 모두의 성장을 위해 한 마음으로 상생의 모범 사례를 만들어 기쁘다”며 “동심공제(同心共濟· 마음을 같이해서 함께 위기를 이겨내자)의 자세로 임직원들의 성장을 향한 염원이 만든 결실로, 노경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며 새로운 도약을 이뤄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정 LS일렉트릭 노조위원장은 “이번 위임은 회사와 노동조합이 함께 성장한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결정”이라면서 “앞으로도 신뢰와 소통을 바탕으로 회사의 미래 비전 달성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최근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재생에너지 확대, 글로벌 전력망 교체 등으로 전 세계 전력 설비와 인프라 수요가 장기적으로 급증하는 ‘전력 슈퍼사이클’이 도래했다. LS일렉트릭은 이를 발판 삼아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전력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송전부터 변전, 배전에 이르기까지 전력의 모든 이동 과정에 걸쳐 포트폴리오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기업이다.
스마트 배전과 DC(직류) 솔루션 기술력을 기반으로 북미에서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및 마이크로그리드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HVDC(초고압직류송전),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신성장 사업에서도 독보적인 기술력과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차세대 전력 인프라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관련기사
- LS일렉-LG전자-한전, 직류 기반 스마트팩토리 사업 본격
- LS일렉트릭-볼보, 태양광 연계 FEMS로 RE100 시동
- LS일렉트릭 "차세대 ESS·데이터센터 솔루션으로 북미 공략 가속"
- LS일렉트릭, 600억 규모 '미국 AI 데이터센터 전력망 사업' 수주
- LS일렉트릭, LS전선과 차세대 전력 솔루션 대거 공개
- LS 상반기 영업익 5402억원 전년비 12.6%↓
- LS일렉트릭, 태양광발전소 매매·VPP 참여 플랫폼 '햇빛길중개' 오픈
- LS일렉, 싱가포르서서 데이터센터용 배전 솔루션 공개
- LS일렉트릭, 美 하니웰과 데이터센터 전력 솔루션·BESS 개발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