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포럼 'Auto Semicon Korea' 개최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국내 차량용 반도체 경쟁력 강화와 생태계 확장을 위해 현대모비스 주도로 20여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힘을 합친다.
민간형 ‘K-車반도체’ 협력의 첫 사례로, 핵심 반도체 국산화와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제1회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포럼 ‘Auto Semicon Korea’(ASK)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포럼에는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을 비롯해 주요 기업들의 최고경영자급 인사들과 관련 임원 80여 명이 대거 참석했다.
삼성전자, LX세미콘, SK키파운드리, DB하이텍, 글로벌테크놀로지, 동운아나텍, 한국전기연구원 등이 참가했다.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민간 주도의 차량용 반도체산업 공동 대응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이 분야는 유럽과 북미 등 외국산 제품의 의존도가 절대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국내 기업들이 자생적으로 밸류체인을 형성하고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데 뜻을 모은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포럼에 참여한 주요 기업들과 함께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티어1(Tier 1) 부품사로서 완성차와 반도체 기업을 연결하는 전략적 위치에 놓여있다. 또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이자, 공급망 관리자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국내 차량용 반도체 산업을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행사는 이 사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 ▲모빌리티 핵심 반도체 국산화 방안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 방향성 등 다양한 주제의 발표와 토의로 이어졌다.
이 사장은 “독자적인 반도체 설계 역량 확보와 함께 팹리스 및 디자인 하우스와 공동개발을 추진하고, 주요 파운드리와도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며 “IT나 모바일에 특화된 기업들의 신규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이를 통해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를 시작으로 ASK를 이 분야 국내 대표 포럼으로 육성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연 1회 포럼을 정례화하고, 2026년부터는 스타트업이나 기존 반도체 유관기술 보유 기업의 신규 참여를 독려하기로 했다. 관련 협회와 주요 기관에도 문호를 넓힌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SBTi 승인…"2030년 온실가스 46% 감축"
- 현대모비스 '모비우스 부트캠프 1기' 발족…"모빌리티 SW 인재 육성"
- 현대모비스,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치어 3천마리 방류
- [IAA 2025] 현대모비스 "전동화·통합 솔루션·UX 기술로 '글로벌 Top3' 도약"
- 현대모비스, 獨 IAA서 미래 모빌리티 전략 공개…"유럽 공략 가속"
- 현대모비스 이규석 "전동화·SDV 기술 강화..車 반도체·로보틱스 본격"
- '중국 최초 18나노 D램' 삼성전자 출신들이 만들었다
- 현대모비스, 동반성장 안내책자 발간…협력사 신기술 개발에 3년간 1800억 지원
- 현대모비스 SNS 콘텐츠, 깐느 기업광고제 수상…韓 기업 유일
- 현대모비스, 자체 생성형 AI 서비스 'MoAI' 오픈
- 현대모비스 3분기 영엽익 7803억 전년比 14.12%↓…"美 관세 부담"
- 현대모비스, 눈부심 방지 지능형 램프 기술로 특허기술상 대상 수상
- 현대모비스, '테크 브릿지 2025' 개최…모빌리티 50개 혁신 기술 공개
- "혁신 아이디어 1170건"…현대모비스, 역대 최대 규모 기술 페스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