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금융권 CISO와 긴급 회의

2025년 9월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 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사고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025년 9월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해킹 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사고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박소연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회사에게 최고경영자(CEO) 책임하에 정보보호체계를 챙길 것을 당부했다. 

금융위원회는 23일 전 금융권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등과 긴급 회의를 열고 금융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롯데카드의 회원 297만명 정보 유출 사고 여파로 마련된 이날 회의에는 전 업권 금융회사 CISO 약 180여 명이 참석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회사에서는 CEO 책임하에 모든 전산시스템과 정보보호체계에 보안상 허점이 없는지, 사운을 걸고 즉시, 전면적으로 챙겨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상시적·체계적인 보안관리 시스템을 구축을 강조했다. 

권 부위원장은 "CISO가 독립적으로 보안을 챙길 수 있도록 보장하고, 전산 보안 인력·설비 등을 충분히 갖추는 노력과 함께 CEO 스스로 보안 관리를 '본인의 업무'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챙기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또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신속한 서비스 복구와 피해자 구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면밀한 비상 대응 체계도 마련해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불가피하게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 정확한 사실을 신속하게 정부·유관기관과 고객에 알리고, 상황에 맞는 피해 복구 조치와 구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권 부위원장은 "전 금융회사 CEO분들은 해킹사고가 모든 금융회사 목전에 닥쳐있는 심각한 위협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신속한 전수 점검과 내부 관리체계 마련을 서둘러 주달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금융보안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편하기 위한 징벌적 과징금과 보안수준 비교 공시 도입, CISO 권한 강화 등 종합적인 제도 개선 사항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