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 돌입
임금·정년 연장 등 쟁점 평행선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7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노사 갈등이 격화되는 모양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전날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3일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오전·오후 출근조는 3일과 4일 각각 2시간, 5일에는 4시간씩 파업에 나선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2018년 이후 7년 만이다.
앞서 노조는 지난달 25일 전체 조합원 4만2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했다. 투표율은 94.75%를 기록했고, 이 중 86.15%가 찬성했다.
현대차 노사는 6월 18일 상견례 시작 이후 20차례 교섭을 이어갔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의 파업 돌입을 의식한 현대차는 협상 재개를 제안했다.
이동석 현대차 사장은 지난달 26일 입장문을 통해 “중대한 기로에서 노사 간 진정성 있는 논의를 다시 이어나가기 위해 오늘 노조에 ‘교섭 재개’를 공식적으로 요청했다”며 “지금은 교섭을 원만히 마무리하고 생산·판매·서비스·연구개발 등 현대차 모든 부문이 힘을 합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야 할 때”라고 호소했다.
올해 임단협 교섭의 핵심 쟁점은 임금 인상 규모와 정년 연장 문제다.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작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소득 공백 없는 정년 연장(최장 64세) ▲주 4.5일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이 전날 교섭에서 ▲기본급 9만5000원 인상 ▲성과금 400%+1400만원 ▲주식 30주 ▲전통시장상품권 20만원 ▲일부 수당의 통상임금 확대 등을 제시했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했다.
노조는 현대차가 지난해 영업이익 14조2396억원을 거두고 올해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7.3% 증가한 만큼 임금 인상 여력이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사측은 미국의 15% 관세와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하반기 영업이익률 하락이 불가피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정년 연장 문제를 두고도 입장차가 크다. 노조는 매년 2000명 이상 정년퇴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현대차가 사회적 과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하지만, 사측은 정부와 정치권의 논의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교섭 안건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노조가 파업을 결정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불필요한 소모전을 지양하고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번 부분 파업과 별개로 사측과 교섭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