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콘텐츠 제작 및 수요 예측

[포쓰저널=신은주 기자] 패션업계가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마케팅의 새 전환점을 맞고 있다.
21일 LF에 따르면 대표 브랜드 ‘헤지스’가 AI를 접목한 실험적 마케팅을 활발히 전개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헤지스는 AI 콘텐츠 릴리즈, AI 모델 활용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브랜드 감성과 가치를 소비자와 실시간으로 연결하며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헤지스 로잉 클럽 캠페인’ 영상은 브랜드 DNA인 ‘영국 로잉 클럽’에서 영감을 받아 캠브리지 대학교 로잉 클럽 스토리를 AI로 단편 영화처럼 구현했다.
LF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1928년과 2025년을 잇는 헤리티지를 감각적으로 연출해 완성도 높은 몰입감을 제공했다.
그 결과 영상에 소개된 '25SS(봄여름) 로잉 클럽 컬렉션’의 구매 고객수가 전년 대비 10% 증가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실제로 영상에 등장한 '25SS 빅퍼피 그래픽 카라티셔츠’ 매출은 전년 대비 500% 급증하며 대표적인 시즌 히트 아이템으로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이번 영상은 젊은 고객층 확대에도 기여했다. 2025년 봄·여름(S/S) 로잉 클럽 컬렉션 구매 고객 중 40대 이하 비중이 전년 대비 3% 높아지며 브랜드 세계관을 세련되게 재해석한 AI 영상이 MZ세대에게 효과적으로 어필 됐다는 평가다.
LF 헤지스는 장마철 날씨에 맞춰 우산을 든 해외 AI 모델 이미지를 실시간 투입한 팝업 행사장의 고객 수요를 분석한 결과, 해당 기획전의 고객 유입은 전 주 대비 24배, 기획전 연관 상품 매출은 8배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폭염 시즌에 즉시 선보인 ‘살안타템’ 기획전 역시 국내 AI 모델 이미지를 투입해 약 2만 페이지 뷰를 기록하며 호응을 얻었다.
LF 헤지스 관계자는 “AI 기술은 브랜드의 헤리지티와 감성을 생생하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의 니즈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기회를 제공한다”며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으로 AI 기반 콘텐츠에 대한 반응이 뚜렷해지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앞으로도 디지털 트렌드에 맞춘 혁신적인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K-컬처 주도' CJ 이재현, 한미정상회담 경제사절단 합류
- LF 킨, 트레일러닝 시장 공략 본격..'시크(Seek)' 출시
- SK온·포드 美 합작법인 '블루오벌SK' 상업 생산 돌입.."북미 생산 역량 강화"
- 신세계百, 5개 제휴 카드사와 '5메이징 카드 페스타'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LF·CJ대한통운 사외이사직 사임
- '가을 러닝 시장 공략'..리복, '윈드 브레이커' 신제품 출시
- [브리핑] '피부 장수 위한 인삼의 힘'..설화수, 자음생크림 글로벌 캠페인
- '말차 코어룩' 트렌드 가을에도 계속된다...LF, 그린 계열 패션 확대
- 클래식 스타일 도전..LF 킨, 유니크 한정판 로퍼 출시
- LF 헤지스, K-헤리티지 컬렉션 출시…"K-열풍 글로벌 공략 강화"
